책 내용 질문하기
궁금한 문제들 ~!
도서
[2013]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1
조회수
2409
작성일
2013-02-04
작성자
첨부파일

1 ) -426 Pack 10진수 형식으로 표현한 것은?

가. 0100 0010 0110 1101

나. 0100 0010 0110 1100

다. 1101 0100 0010 0110

라. 1100 0100 0010 0110

2 ) 가산기능과 보수기능만 있는 산술논리연산장치(ALU)를 이용하여 F = A - B 를 하고자 할 때 옳은 방법

가. F = A - B

나. F = A - B +1

다. F = A + B + 1

라. F = A' + B + 1

3 ) 2의 보수를 사용하는 컴퓨터에서 10진수 5와 11을 AND 연산하고 Complement 하였다면 결과는?

가. (1)

나. (2)

다. (-1)

라. (-2)

모든 10진수.

4 ) 컴퓨터 주기억장치의 용량이 256M라면 주소 버스의 폭은 최소한 몇 BIT 이여야 하는가?

가. 24

나. 26

다. 28

라. 30

문제 풀다가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여유 되신다면 풀이법도 같이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2013-02-05 09:23:35

안녕하세요.

교재에 수록된 문제들은 모두 자세한 해설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예상문제은행은 부록(정답및해설)에 해설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1)

팩 형식의 10진 표현은 부호가 표현되는 마지막 바이트의 디지트 부분(4비트)을 제외한 부분에는 4비트씩 끊어서 10진수 1자리가 표
현됩니다. 그리고 마지막 바이트의 디지트 부분에 표현된 값이 C면 양수이고, D면 음수를 나타냅니다.
-426은 426D이고 이것을 BCD로 표현하면
4 2 6 D
0100 0010 0110 1101 입니다.

2)

가산 기능과 보수 기능을 이용하여 뺄셈을 할 때는 감수에 대한 보수를 구한 다음 더해서 결과를 구하고, 그 결과에 추가로 자리올림수 1을 더하면 됩니다.

7-5=2를 통해 확인해보죠.
7=111(피감수)
5=101(감수)

감수인 101의 보수(0은 1, 1은 0)는 010 이므로

1 1 1

+ 0 1 0

--------

1 0 0 1

-

자리올림수

001에 자리올림수 1을 더하면 010, 즉 2가 나왔죠? 그러니까 A-B는 A+‘B의 보수’+1이 되는 겁니다. B의 보수는B`로 표시합니다.

F = A - B는 F = A+B'+1 이 됩니다.

3)

먼저 5와 11의 4비트짜리 2진수를 구해 각 비트를 AND 연산합니다.
5 = 0101
10 = 1011

0 1 0 1

AND 1 0 1 1

-------------

0 0 0 1

결과인 0001의 보수를 구하면 1110입니다. 이제 1110을 2의 보수법에 맞게 10진수로 변환하면 됩니다.
1110의 첫 번째 비트가 1이므로 1110의 부호는 음수입니다. 결과에 ‘-’를 붙여야 하는 거지요.

1110의 2의 보수를 구하면 0010, 즉 10진수로 2입니다. 최종적으로 결과에 ‘-’을 붙이면 (-2)10입니다.

4)

주소 버스, 즉 주소선의 수는 주소선이 n개라면 2의 n개의 워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문제에서 워드에 대한 조건이 없으면 워드의 크기를 1Byte로 보면 됩니다.

256M는 2^8*MB이며, MB는 2^10*2^10으로 2^20입니다. 즉 256MB는 2^28Byte 이므로 필요한 주소선의 수는 28개 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3-02-05 09:23:35

    안녕하세요.

    교재에 수록된 문제들은 모두 자세한 해설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예상문제은행은 부록(정답및해설)에 해설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1)

    팩 형식의 10진 표현은 부호가 표현되는 마지막 바이트의 디지트 부분(4비트)을 제외한 부분에는 4비트씩 끊어서 10진수 1자리가 표
    현됩니다. 그리고 마지막 바이트의 디지트 부분에 표현된 값이 C면 양수이고, D면 음수를 나타냅니다.
    -426은 426D이고 이것을 BCD로 표현하면
    4 2 6 D
    0100 0010 0110 1101 입니다.

    2)

    가산 기능과 보수 기능을 이용하여 뺄셈을 할 때는 감수에 대한 보수를 구한 다음 더해서 결과를 구하고, 그 결과에 추가로 자리올림수 1을 더하면 됩니다.

    7-5=2를 통해 확인해보죠.
    7=111(피감수)
    5=101(감수)

    감수인 101의 보수(0은 1, 1은 0)는 010 이므로

    1 1 1

    + 0 1 0

    --------

    1 0 0 1

    -

    자리올림수

    001에 자리올림수 1을 더하면 010, 즉 2가 나왔죠? 그러니까 A-B는 A+‘B의 보수’+1이 되는 겁니다. B의 보수는B`로 표시합니다.

    F = A - B는 F = A+B'+1 이 됩니다.

    3)

    먼저 5와 11의 4비트짜리 2진수를 구해 각 비트를 AND 연산합니다.
    5 = 0101
    10 = 1011

    0 1 0 1

    AND 1 0 1 1

    -------------

    0 0 0 1

    결과인 0001의 보수를 구하면 1110입니다. 이제 1110을 2의 보수법에 맞게 10진수로 변환하면 됩니다.
    1110의 첫 번째 비트가 1이므로 1110의 부호는 음수입니다. 결과에 ‘-’를 붙여야 하는 거지요.

    1110의 2의 보수를 구하면 0010, 즉 10진수로 2입니다. 최종적으로 결과에 ‘-’을 붙이면 (-2)10입니다.

    4)

    주소 버스, 즉 주소선의 수는 주소선이 n개라면 2의 n개의 워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문제에서 워드에 대한 조건이 없으면 워드의 크기를 1Byte로 보면 됩니다.

    256M는 2^8*MB이며, MB는 2^10*2^10으로 2^20입니다. 즉 256MB는 2^28Byte 이므로 필요한 주소선의 수는 28개 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