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필기 소프트웨어 관리 질문.
도서
[2013]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조회수
269
작성일
2013-01-29
작성자
첨부파일

소프트웨어 공학과목에서

29장에

sw project를 계획하는데 있어 예측의 대상으로 거리가 먼 것은 어느것인가?

답 위험요인

이라고 하는데 위험 요인이 왜 아니라는거죠??

그리고

31장에 software project의 비용 결정 요소와 관련이 적은것은 ?

답 하드웨어 성능

이라고 하는데.

책 옆에 보면 하드웨어 자원도 있는데...

왜 아닌거죠?

그리고, 통신 파트에서..

비동기식 전송에 대한 설명 문제중에...

비동기식이 한문자를 전송할 때마다 동기화 시킨다는게 뭐죠??? 5-25에 있는 문젠데요...

답변
2013-01-30 09:35:36

안녕하세요.

1)

해설에서도 언급했듯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갑자기 발생하는 위험 요소를 미리 예측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입니다. 위험 요소는 미리 예측할 요소라기 보다는 발생할 경우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요소입니다.

2)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해당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의 어떤 자원을 사용할 지 고려는 하지만 성능까지 고려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보통 소프트웨어가 개발되면 이 소프트웨어의 최적 하드웨어 성능은 무엇이라고 제시하죠.

만일 모든 사용자들의 하드웨어 성능까지 고려해서 자동으로 성능에 맞게 소프트웨어가 적응한다면 편하긴 할텐데 그렇게 만들기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3)

5-23쪽 사이드 도움말에서 언급하듯이 비동기라고 해서 동기화를 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타이밍을 맞추는 방법에 따라 동기와 비동기라고 말하는 것이죠. 해당 부분의 내용을 확인해 보면서 다시한번 이해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3-01-30 09:35:36

    안녕하세요.

    1)

    해설에서도 언급했듯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갑자기 발생하는 위험 요소를 미리 예측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입니다. 위험 요소는 미리 예측할 요소라기 보다는 발생할 경우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요소입니다.

    2)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해당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의 어떤 자원을 사용할 지 고려는 하지만 성능까지 고려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보통 소프트웨어가 개발되면 이 소프트웨어의 최적 하드웨어 성능은 무엇이라고 제시하죠.

    만일 모든 사용자들의 하드웨어 성능까지 고려해서 자동으로 성능에 맞게 소프트웨어가 적응한다면 편하긴 할텐데 그렇게 만들기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3)

    5-23쪽 사이드 도움말에서 언급하듯이 비동기라고 해서 동기화를 하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타이밍을 맞추는 방법에 따라 동기와 비동기라고 말하는 것이죠. 해당 부분의 내용을 확인해 보면서 다시한번 이해해 보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