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데이터베이스 질문드립니다.
도서
[2010]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162
조회수
379
작성일
2013-01-18
작성자
첨부파일

162쪽에서 전이진 트리는 노드의 수가 n개일 때, 정이진 트리의 각 노드에 붙인 1~n의 일련번호와 1:1 대응되는 트리를 말한다.. 여기서 밑줄친 부분이 어떤 말인지 이해가 잘 되지 않는데^^; 쉽게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근노드에 두개의 자식노드가 오면 다른 한 쪽에도 똑같이 두개의 자식노드가 대응해야한다는 것인지..;;

그냥 그림만봐서는 이해가 잘 안되요; ~

182쪽에서 버킷은 하나의 주소를 갖는 파일의 구역이다 라는 설명이 있는데요.. 오버플로에서 버킷을 구성하는 슬롯이 여러개일 때 충돌은 발생하도 오버플로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고 했는데.. 그럼 버킷이 하나의 주소가 아니라 버킷을 구성하는 슬롯 하나하나가 주소를 가진다는 말인가요?..

189쪽에서 색인 순차 파일 레코드의 키 항목만을 모은 색인을 구성하여 편성하는 방식이다라고 하는데요..

여기서 말하는 레코드의 키는 앞에서 데이터 모델 구성요소에서 배운 정보제공의 역할을 하는 튜플 개체와 같은 개념인가요?..;;

해싱함수에서도 제산법 등등에서 레코드 키값 이라 하여.. 숫자가 나오는데요.. 여기서의 레코드 키값은 무엇을 나타내는지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2013-01-21 10:05:55

안녕하세요.


1) 전이진 트리
각각의 근노드를 분리하여 볼 때 각각이 정이진 트리 형태를 갖추는 트리라는 의미입니다.

2)
질문하신 내용은 시험의 보기 문구 중 "충돌이 발생하면 반드시 오버플로가 발생한다"는 틀린 문장을 바르게 표현한 것입니다.
충돌은 서로 다른 두 레코드가 같은 주소, 즉 같은 슬롯에 들어가려고 하는 것인데, 이는 버킷 안에 빈 슬롯이 있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오버플로가 발생할 수 없는 상태(빈 슬롯이 있는 상태)에서도 충돌은 발생할 수 있으니 충돌이 발생하면 무조건 오버플로가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3)
레코드의 키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을 순차적이 아니라 직접 찾아갈 수 있는 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190쪽 그림과 같이 색인구역 0014는 기본구역 트랙1의 0014를 찾아갈 수 있는 키 값입니다. 일반적으로 키라 함은 해당 레코드를 다른 레코드와 구별할 수 있는 중복되지 않는 값으로 구성합니다. 레코드를 구별할 때 기본키를 사용한 것과 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3-01-21 10:05:55

    안녕하세요.


    1) 전이진 트리
    각각의 근노드를 분리하여 볼 때 각각이 정이진 트리 형태를 갖추는 트리라는 의미입니다.

    2)
    질문하신 내용은 시험의 보기 문구 중 "충돌이 발생하면 반드시 오버플로가 발생한다"는 틀린 문장을 바르게 표현한 것입니다.
    충돌은 서로 다른 두 레코드가 같은 주소, 즉 같은 슬롯에 들어가려고 하는 것인데, 이는 버킷 안에 빈 슬롯이 있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오버플로가 발생할 수 없는 상태(빈 슬롯이 있는 상태)에서도 충돌은 발생할 수 있으니 충돌이 발생하면 무조건 오버플로가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3)
    레코드의 키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을 순차적이 아니라 직접 찾아갈 수 있는 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190쪽 그림과 같이 색인구역 0014는 기본구역 트랙1의 0014를 찾아갈 수 있는 키 값입니다. 일반적으로 키라 함은 해당 레코드를 다른 레코드와 구별할 수 있는 중복되지 않는 값으로 구성합니다. 레코드를 구별할 때 기본키를 사용한 것과 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