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스키마는 사용자나 응용프로그래 관점에서 본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한 부분이라고 설명되어 있는데요.. DDL은 외부스키마의 명세를 정의한다고 하였는데 일반사용자는 DDL을 사용하지 않잖아요~
관점에서 본 것 뿐이지 DDL로 DBA가 명세를 정의하는 것과는 별개인것인가요?..
DBA는 개념스키마와 내부스키마를 정의한다고 나와있는 설명도 명세정의를 하는 사람 기준인 것이고 말이죠..
내부스키마는 물리적으로 저장되는 방법을 기술한다고 되어있는데 이를 정의하는 것은 DBA가 되는 것이고요.. 스키마 설명에는 보는 관점에 따라서 써져있는데 DBA설명에 개념스키마 및 내부스키마 정의가 써있으니까 조금은 햇갈리더라구요.. 답변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외부스키마는 명세를 정의한다는 표현은 안하나요?.. 외부스키마를 정의하는 사람은 누가되는 것인가요?..
그리고 PASCAL이 호스트언어라고 되어있는데 PASCAL도 DB기능을 추가하여 C.COBOL같이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데이터 정의 언어는 말 그대로 DB구조, 형식, 접근 방식 등 DB를 구축하거나 수정할 때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정의어는 스키마 명세를 정의, 즉 스키마 명세(설계)대로 DB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개념 스키마, 외부 스키마, 내부 스키마로 명세(설계)된 것들을 정의(구축)할 때 사용하는 것이 DDL입니다.
교재에는 관련 내용을 모두 수록하지 않고 시험에 자주 나오는 문구나 내용 위주로 구성하였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내용이 많아지고 교재가 두꺼워져 학습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게 되죠. 이를 위해 시나공, 즉 시험에 나오는 것만 공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사용을 위한 구성 요소, 스키마, 제약 조건 등을 정의하고 그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 DBA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 관련된 중요한 것은 모두 다 수행하거나 책임을 지고 있죠.
DBA는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 외부 스키마 모두 정의합니다. 즉 스키마를 정의하는 것은 DBA입니다.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용자가 접근하여 사용합니다. 이렇듯 여러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접근하는 서버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호스트 언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C, COBOL, PASCAL, POTRAN 등 다양한 언어들이 있겠죠. 결국 다양한 프로그램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전문가를 응용 프로그래머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호스트 언어에 DB 기능을 추가해서 만든 것을 조작어(DML)이라고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3-01-03 10:17:44
안녕하세요.
데이터 정의 언어는 말 그대로 DB구조, 형식, 접근 방식 등 DB를 구축하거나 수정할 때 사용하는 언어입니다.
정의어는 스키마 명세를 정의, 즉 스키마 명세(설계)대로 DB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개념 스키마, 외부 스키마, 내부 스키마로 명세(설계)된 것들을 정의(구축)할 때 사용하는 것이 DDL입니다.
교재에는 관련 내용을 모두 수록하지 않고 시험에 자주 나오는 문구나 내용 위주로 구성하였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내용이 많아지고 교재가 두꺼워져 학습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게 되죠. 이를 위해 시나공, 즉 시험에 나오는 것만 공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사용을 위한 구성 요소, 스키마, 제약 조건 등을 정의하고 그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 DBA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 관련된 중요한 것은 모두 다 수행하거나 책임을 지고 있죠.
DBA는 개념 스키마, 내부 스키마, 외부 스키마 모두 정의합니다. 즉 스키마를 정의하는 것은 DBA입니다.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용자가 접근하여 사용합니다. 이렇듯 여러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접근하는 서버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호스트 언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C, COBOL, PASCAL, POTRAN 등 다양한 언어들이 있겠죠. 결국 다양한 프로그램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전문가를 응용 프로그래머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호스트 언어에 DB 기능을 추가해서 만든 것을 조작어(DML)이라고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