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SJF기법관련해서 예제1번은 풀이가 그냥 순수하게 진행시간 제일 짧은게 우선으로 나와있는데요.
예제2번에선 P1이 실행시간이 젤 짧은게 아닌데도 가장 먼저 도착했다고 1순위로 배정받았잖아요..
실제 문제에선 가장 먼저도착 한 것은 예외적으로 1순위로 배정한다고 조건이 주어지나요?
그리고 3-41의 2번문제도 비슷한 상황인데 도착시간이 주어지면 가장 먼저 도착한것만 예외적으로 1순위로 배정하고 나머진 원래 이론대로 진행시간이 가장 짧은 것 우선으로 배정시킨다는 뜻으로 해석되는군요..
위의 세 문제들(-이론편의 예제2개와 기출문제)의 풀이방식의 기준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예제1은 문제 문구 마지막에 제출 시간이 없을 경우라는 단서가 있습니다.
즉 별도의 제출시간이 없으면 대상 프로세스들의 실행 시간을 기준으로 가장 짧을 것 부터 수행합니다.
하지만 제출 시간이 있으며, 가장 빨리 제출된 작업을 우선 처리하고 처리하는 중간에 도착한 프로세스가 여러개 일 경우 다음 처리할 프로세스는 그 중에서 짧은 것을 우선 처리합니다.
하지만 제출시간과 실행시간이 다음과 같다면 순차적으로 수행합니다.
A 제출 0 실행 3
B 제출 3 실행 2
C 제출 5 실행 1
처리 순서 A, B, C
A가 가장 먼저 들어왔으니 A를 먼저 처리합니다. 처리가 완료된 3시간 후에 B가 들어오므로 B를 수행합니다.
역시 B의 처리가 완료되는 5시에 C가 들어오므로 C를 수행합니다.
이렇듯 제출 시간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중간에 들어오는 프로세스가 여러개일 경우 다음 처리 대상을 선정할 때 SJF는 처리 시간이 짧을 것을 대상으로 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2-08-24 09:15:48
안녕하세요.
예제1은 문제 문구 마지막에 제출 시간이 없을 경우라는 단서가 있습니다.
즉 별도의 제출시간이 없으면 대상 프로세스들의 실행 시간을 기준으로 가장 짧을 것 부터 수행합니다.
하지만 제출 시간이 있으며, 가장 빨리 제출된 작업을 우선 처리하고 처리하는 중간에 도착한 프로세스가 여러개 일 경우 다음 처리할 프로세스는 그 중에서 짧은 것을 우선 처리합니다.
하지만 제출시간과 실행시간이 다음과 같다면 순차적으로 수행합니다.
A 제출 0 실행 3
B 제출 3 실행 2
C 제출 5 실행 1
처리 순서 A, B, C
A가 가장 먼저 들어왔으니 A를 먼저 처리합니다. 처리가 완료된 3시간 후에 B가 들어오므로 B를 수행합니다.
역시 B의 처리가 완료되는 5시에 C가 들어오므로 C를 수행합니다.
이렇듯 제출 시간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중간에 들어오는 프로세스가 여러개일 경우 다음 처리 대상을 선정할 때 SJF는 처리 시간이 짧을 것을 대상으로 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