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2011년 2회 정보처리기사 필기 B형 28 번 문제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도서
[2012] SUMMARY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256
조회수
241
작성일
2012-06-28
작성자
첨부파일

28. 다음 중 1-2주소 명령어 형식을 따르는 명령어 mul a를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것은?

답. 가. AC <-AC*M[A]

해석도 잘되어있지 않고

쉽고 간단하게 풀이 부탁드립니다.

답변
2012-06-29 09:43:58

안녕하세요.

1주소 명령은 AC(누산기)를 이용합니다.

문제는 1주소 명령, 즉 누산기를 이용한 명령어 형식에서 MUL A를 표현한 것을 묻는 문제입니다.

MUL은 곱하기이고, M[A]는 A번지의 내용이 기억된 기억장소이므로

AC <- AC*M[A]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풀이에서 예는 곱해지는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예를 들어 3*4의 과정을 설명한다면

먼저 3을 AC에 저장합니다. LDA A, 즉 AC <- M[3] M[3]은 3이 기억된 메모리를 의미함

다음 3이 저장된 AC에 4를 곱한 후 그 결과를 다시 AC에 저장합니다.

MUL B, 즉 AC <- AC*M[4] 앞서 AC에는 3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AC*M[4]를 하면 3*4를 한 것이죠. 이것을 다시 AC에 저장하면

결과적으로 최종 AC에는 12가 기억된다는 의미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2-06-29 09:43:58

    안녕하세요.

    1주소 명령은 AC(누산기)를 이용합니다.

    문제는 1주소 명령, 즉 누산기를 이용한 명령어 형식에서 MUL A를 표현한 것을 묻는 문제입니다.

    MUL은 곱하기이고, M[A]는 A번지의 내용이 기억된 기억장소이므로

    AC <- AC*M[A]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풀이에서 예는 곱해지는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예를 들어 3*4의 과정을 설명한다면

    먼저 3을 AC에 저장합니다. LDA A, 즉 AC <- M[3] M[3]은 3이 기억된 메모리를 의미함

    다음 3이 저장된 AC에 4를 곱한 후 그 결과를 다시 AC에 저장합니다.

    MUL B, 즉 AC <- AC*M[4] 앞서 AC에는 3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AC*M[4]를 하면 3*4를 한 것이죠. 이것을 다시 AC에 저장하면

    결과적으로 최종 AC에는 12가 기억된다는 의미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