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85에서 다치종속과 부분함수적 종속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2. 1-85의 잠깐만요에서
조인종속: 어떤 릴레이션 R이 자신의 Projection에 대한 조인의 결과가 자신과 같을 때 조인 종속(JD)은 R의 속성 집합의 일부분이다.
라고 써 있는데요. 여기서 projection과 조인이 무슨 뜻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1)
완전 함수적 종속
어떤 속성이 기본키에 대해 완전히 종속적일 때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수강> 테이블은 (학번, 과목번호)가 기본키인데, 성적은 학번과 과목번호가 같을 경우에는 항상 같은 성적이 오므로, 즉 성적은 학번과 과목번호에 의해서만 결정되므로 성적은 기본키(학번, 과목번호)에 완전 함수적 종속이 되는 것입니다.
부분 함수적 종속
반면에 학년은 과목번호에 관계없이 학번이 같으면 항상 같은 학년이 오므로, 즉 기본키의 일부인 학번에 의해서 학년이 결정되므로 학년은 부분 함수적 종속이라고 합니다.
다치 종속(다중 값 종속)
A, B, C 3개의 속성을 가진 테이블 R에서 어떤 복합 속성(A, C)에 대응하는 B 값의 집합이 A 값에만 종속되고 C 값에는 무관하면, B는 A에 다중 값 종속이라 하고, A →→ B로 표기합니다.
2)
Projection은 관계대수에서 학습한 Project 연산을 의미합니다.
주어진 릴레이션에서 속성 리스트에 제시된 속성들만 추출하는 연산입니다.
즉 조인(Join)한 결과 추출된 속성이 자신의 릴레이션 속성과 동일한 경우를 조인 종속이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2-05-04 09:53:21
안녕하세요.
1)
완전 함수적 종속
어떤 속성이 기본키에 대해 완전히 종속적일 때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수강> 테이블은 (학번, 과목번호)가 기본키인데, 성적은 학번과 과목번호가 같을 경우에는 항상 같은 성적이 오므로, 즉 성적은 학번과 과목번호에 의해서만 결정되므로 성적은 기본키(학번, 과목번호)에 완전 함수적 종속이 되는 것입니다.
부분 함수적 종속
반면에 학년은 과목번호에 관계없이 학번이 같으면 항상 같은 학년이 오므로, 즉 기본키의 일부인 학번에 의해서 학년이 결정되므로 학년은 부분 함수적 종속이라고 합니다.
다치 종속(다중 값 종속)
A, B, C 3개의 속성을 가진 테이블 R에서 어떤 복합 속성(A, C)에 대응하는 B 값의 집합이 A 값에만 종속되고 C 값에는 무관하면, B는 A에 다중 값 종속이라 하고, A →→ B로 표기합니다.
2)
Projection은 관계대수에서 학습한 Project 연산을 의미합니다.
주어진 릴레이션에서 속성 리스트에 제시된 속성들만 추출하는 연산입니다.
즉 조인(Join)한 결과 추출된 속성이 자신의 릴레이션 속성과 동일한 경우를 조인 종속이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