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궁금한 것이 있어 문의드려요.
1.(A+B)(C+A)+A*B*C+A*B'*C+A*B*C' 의 논리식을 간략화하면 A+B*C라 하는데 간략화식을 부탁드려요.
2.A+AB'+BC의 논리식은 간략화하면 A+BC가 맞나요? A+B라고 나와있어서요.
3.명령어 형식에서 MOVE E,A ADD E,B SUB E,C MUL E,D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A+B-C*D아닌가요? 답이 (A+B-C)*D로 되어있는데 순서대로 나타내면 곱셈이 먼저 묶여서 ()를 표기했을 때의 계산이 명령어 형식과 같아지는데 계산순서에 맞게 되도록 ()를 붙여주는 것이 답이 되는것인지요
4.자기디스크 파일에서 출력하는 시간을 계산한다면 어느 방법이 타당하가
Seek Time, 회전시간, 전송시간의 합 이라 생각했는데 Seek Time, Read/Write Head 선택시간, 회전시간, 데이터 전송시간의 합이라 하는데.. 무엇이 바른건가요?..
5. 스트로브 신호와 비지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형태는 무엇인가 비동기식 전송의 방식으로 아는데 병렬전송이라고 답이 되어있는데 맞는 답인가요?
책이 아닌 다른 곳에 있는 문제인데 알고 싶어서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1)
1.(A+B)(C+A)+A*B*C+A*B'*C+A*B*C'
= (A+B)(C+A)+A*B(C+B'+C')
= (A+B)(C+A)+A*B(1+B') <- C+C' =1
= (A+B)(C+A)+A*B(1) <- 1+B' =1
= (A+B)(C+A)+AB
=AC+AA+BC+AB+AB
=AC+A+BC+AB <- AB+AB = AB, AA=A
=A(C+1)+BC+AB <- C+1 = 1
=A+BC+AB
=A(1+B)+BC <- 1+B=1
=A+BC
2)
A+AB'+BC
= A(1+B')+BC <-1+B'=1
= A+BC
3)
MOVE E,A -> E = A ... 이후 E는 A가 됩니다.
ADD E,B -> A+B
SUB E,C -> (A+B)-C
MUL E,D -> ((A+(B-C))*D
안쪽 괄호는 우선 순위가 같으므로 의미가 없습니다.
그래서 (A+B-C)*D 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4)
자기디스크 파일에서 출력한다? 쓰는 것을 말하는 건가요?
우선 기억장치에 접근(읽거나 쓰거나)하는 시간은 아래와 같이 표현합니다.
Access Time=Seek Time* + Latency Time(또는 Search Time, 회전시간) + Transmission Time
Read/Write 선택 시간이라는 것은 읽는 작업인지 쓰는 작업인지를 판별하는 시간이니 조건에 이 경우가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다를 수 있을 것 같네요.
5)
스트로브 펄스와 비지 펄스를 이용하는 것은 비동기 방식이며, 병렬 전송으로 수행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2-02-24 10:15:30
안녕하세요.
1)
1.(A+B)(C+A)+A*B*C+A*B'*C+A*B*C'
= (A+B)(C+A)+A*B(C+B'+C')
= (A+B)(C+A)+A*B(1+B') <- C+C' =1
= (A+B)(C+A)+A*B(1) <- 1+B' =1
= (A+B)(C+A)+AB
=AC+AA+BC+AB+AB
=AC+A+BC+AB <- AB+AB = AB, AA=A
=A(C+1)+BC+AB <- C+1 = 1
=A+BC+AB
=A(1+B)+BC <- 1+B=1
=A+BC
2)
A+AB'+BC
= A(1+B')+BC <-1+B'=1
= A+BC
3)
MOVE E,A -> E = A ... 이후 E는 A가 됩니다.
ADD E,B -> A+B
SUB E,C -> (A+B)-C
MUL E,D -> ((A+(B-C))*D
안쪽 괄호는 우선 순위가 같으므로 의미가 없습니다.
그래서 (A+B-C)*D 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4)
자기디스크 파일에서 출력한다? 쓰는 것을 말하는 건가요?
우선 기억장치에 접근(읽거나 쓰거나)하는 시간은 아래와 같이 표현합니다.
Access Time=Seek Time* + Latency Time(또는 Search Time, 회전시간) + Transmission Time
Read/Write 선택 시간이라는 것은 읽는 작업인지 쓰는 작업인지를 판별하는 시간이니 조건에 이 경우가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다를 수 있을 것 같네요.
5)
스트로브 펄스와 비지 펄스를 이용하는 것은 비동기 방식이며, 병렬 전송으로 수행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