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정보처리 기사 " 예상문제은행" 문의 드립니다.
도서
[2011]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2160
조회수
416
작성일
2012-02-16
작성자
첨부파일

1. 2-160 페이지의 50번 문제 문의드립니다

해설에 보면 적중률: 주기억장치 참조횟수에 대한 캐시 적중의 비

- 액세스 시간 = 캐시에서 찾는 데 걸리는 시간 + 주기억 장치에서 찾는 데 걸리는 시간

-> 여기서 캐시에서 찾는 데 걸리는 시간을 구하는 방법은 이해가 되지만,

주기억 장치에서 찾는 데 걸리는 시간을 구하는 방법은 이해가 안됩니다.

Q1. 해설엔 적중률이 0.1 이라고 나와 있는데... 이 적중률은 어떤 방식으로 구해진건지요?

Q2. 그리고 계산식을 보면 (80ns * 0.1) + (1us*0.1 = (80ns * 0.1) + (1000us +0.1)

이라고 나와 있는데.. (1000us+0.1) 은 어떻게 구해진건가요? 산수가 너무 약해서 ^^;;

이해좀 시켜주세요!!

2. 3-56 페이지 문제 26번 문제 문의 드립니다.

SJF 정책을 사용하여 스케쥴링하면 평균 Turn around 시간은 얼마인가?

Q3. 위 문제에서 제출 시간과 실행시간은 나와있습니다.

제출 시간과, 실행 시간을 이용해 대기시간과 반환 시간을 구했습니다.

그런데 SJF에서는 평균 반환시간을 구하려면,

대기 시간의 평균과 반환 시간의 평균을 더해야 하는 건지요?..

보통 반환 시간의 평균만 구하는게 아닌지요?

제가 잘 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도 있는 듯 하여 문의드립니다.

매번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수고하세요.^^

답변
2012-02-16 09:19:49

안녕하세요.

1)

문제에 캐시의 적중률이 0.9로 제시되었으므로, 주기억장치이 적중률은 0.1로 유추할 수 있는 것입니다.

1이 100%이므로 0.9는 90%, 0.1은 10%입니다.

단위의 차이때문입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마이크로초(㎲)와 나노초(ns)는 1000배 차이가 발생합니다.

1㎲ = 1000ns와 같으므로 단위를 맞추는 과정입니다.

2)

반환 시간은 대기시간 + 실행시간입니다.

작업 1 : 대기 0, 실행 2 = 반환 2

작업 2 : 대기 0, 실행 4 = 반환 4

작업 3 : 대기 5, 실행 7 = 반환 12

평균 반환 시간 = (2+4+12)/ 3 = 6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2-02-16 09:19:49

    안녕하세요.

    1)

    문제에 캐시의 적중률이 0.9로 제시되었으므로, 주기억장치이 적중률은 0.1로 유추할 수 있는 것입니다.

    1이 100%이므로 0.9는 90%, 0.1은 10%입니다.

    단위의 차이때문입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마이크로초(㎲)와 나노초(ns)는 1000배 차이가 발생합니다.

    1㎲ = 1000ns와 같으므로 단위를 맞추는 과정입니다.

    2)

    반환 시간은 대기시간 + 실행시간입니다.

    작업 1 : 대기 0, 실행 2 = 반환 2

    작업 2 : 대기 0, 실행 4 = 반환 4

    작업 3 : 대기 5, 실행 7 = 반환 12

    평균 반환 시간 = (2+4+12)/ 3 = 6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