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정보처리기사 기출문제 문의 드립니다.
도서
[2011]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조회수
10291
작성일
2012-02-10
작성자
첨부파일

64.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시 오류 메시지나 경고에 관한 지침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메시지는 이해하기 쉬워야 한다.

나. 오류로부터 회복을 위한 구체적인 설명이 제공되어야 한다.

다. 오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정적인 내용은 가급적 피한다.

라. 소리나 색 등을 이용하여 듣거나 보기 쉽게 의미 전달을 한다.

여기서 답은 다번인데..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요..

전문가 조언에 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시 오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정적인 내용은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 이렇게 나와 있는데..

다 번지문에 가급적 피한다 때문에 틀린 답인건가요?..^^;;;

그리고,2011 기사 교재에 2-76 8번문제가 잘 이해가 안됩니다.

8. 8비트 부호화 2의 보수로 나타낸 수 -77을 오른쪽으로 두 비트 산술 시프트 수행한 결과는?

가.Over Flow 나. -20

다, -19.5 라. +19

위 문제에서 먼저 77을 2진수로 표현해서 2의 보수를 취한다음 우측으로 2비트 쉬프트 연산하였습니다.

그래서 결과가 1110 1100이 나왔는데..

이 부분에서 크기를 알려면 다시 2의보수를 취해 10진수로 변경하면 된다고 하였는데..

왜 그런거죠?? 이 부분이 이해가 잘 안됩니다.

2-86 예상문제은행

5번. 버스 경합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가. 슈퍼스칼라 방식 사용 나. 버스의 고속화

다. 캐시의 사용 라. 다중 버스 사용

이해가 잘 안되네요..

슈퍼스칼라 방식은 책에 설명이 없네요. ??

다중 버스나, 버스의 고속화 라는 것은 이해가 되는데~

슈퍼스칼라 방식과 캐시의 사용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

이해 될 수 있게 조금더 상세한 해설 부탁 드립니다. ^^

참 그리고, 제 이름좀 고쳐 주세요..

이민보가 아니라, 이민복 입니다 ㅠ.ㅜ...

답변
2012-02-13 09:30:24

안녕하세요.

1)

64번 문제에서 '다'번이 잘못된 이유는 이해하신 것처럼 가급적 사용때문입니다 부정적인 내용은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2)

8번 문제

1110 1100 은 2의보수로 표현된 2진수입니다. 이 값이 우리가 알고 있는 10진수로 얼마인지 알아야 초기 77인 값과의 변화를 알 수 있겠죠. 그래서 10진수로 변환해서 확인한다는 것입니다.

3)

5번 문제

슈퍼 스칼라는 프로세서(CPU)의 속도 향상을 위해 각 명령어 실행 시간을 한 사이클 이하로 줄이기 위한 방식입니다.

캐시는 자주 사용되는 명령을 기억하는 것으로 캐시를 이용하면 자주 사용되는 명령에 한해서 버스를 통한 데이터의 이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시 불러올 필요가 없기 때문이죠.

4)

이름 변경은 관리팀에 요청을 하였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2-02-13 09:30:24

    안녕하세요.

    1)

    64번 문제에서 '다'번이 잘못된 이유는 이해하신 것처럼 가급적 사용때문입니다 부정적인 내용은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2)

    8번 문제

    1110 1100 은 2의보수로 표현된 2진수입니다. 이 값이 우리가 알고 있는 10진수로 얼마인지 알아야 초기 77인 값과의 변화를 알 수 있겠죠. 그래서 10진수로 변환해서 확인한다는 것입니다.

    3)

    5번 문제

    슈퍼 스칼라는 프로세서(CPU)의 속도 향상을 위해 각 명령어 실행 시간을 한 사이클 이하로 줄이기 위한 방식입니다.

    캐시는 자주 사용되는 명령을 기억하는 것으로 캐시를 이용하면 자주 사용되는 명령에 한해서 버스를 통한 데이터의 이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시 불러올 필요가 없기 때문이죠.

    4)

    이름 변경은 관리팀에 요청을 하였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