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제어장치와 명령어기능
도서
[2010]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267
조회수
345
작성일
2012-01-12
작성자
첨부파일

1.프로그램 실행 도중 분기가 발생한다는게 무슨 의미인가요?(기출 10)

2.분기를 결정한다는 말의 의미(기출 14)

3.명령어 형식에서 MOV가 나오는데 의미가 값을 저장한다고 되어있는데 이는 명령어의 기능 제어기능 의 MOVE와는 다른것이죠? 함수연산인가요? 그렇다면 산술연산가요 논리연산인가요?.. 예산문제은행에는 논리연산으로 나와있는데 MOV의 정의가 알고 싶습니다.

4.산술연산에서 SUB와 DIV의 의미

답변
2012-01-16 09:33:35

안녕하세요.

1), 2)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입력 작업을 수행하거나 현재 처리중인 작업 외에 다른 부분에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작업의 중심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을 분기라고 합니다. 이러한 분기 작업은 수행 후 다시 원래의 작업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분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작업의 처리 과정에서 미리 해당 부분에 체크를 해두는데, 이 때 사용되는 레지스터가 프래그 레지스터입니다.

3)

특정 레지스터로 값을 옮긴다는 것은 값을 저장한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문제에 제시되는 명령은 프로그래밍 상 값을 특정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여기서는 MOV라는 명령을 이용한 것입니다.

문제가 명령어의 기능을 묻는 것이 아니라면 단순히 프로그램 작업 과정에서 사용되는 명령을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에 맞게 기술한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4)

SUB는 뺄셈, DIV는 나눗셈을 의미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2-01-16 09:33:35

    안녕하세요.

    1), 2)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입력 작업을 수행하거나 현재 처리중인 작업 외에 다른 부분에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작업의 중심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을 분기라고 합니다. 이러한 분기 작업은 수행 후 다시 원래의 작업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분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작업의 처리 과정에서 미리 해당 부분에 체크를 해두는데, 이 때 사용되는 레지스터가 프래그 레지스터입니다.

    3)

    특정 레지스터로 값을 옮긴다는 것은 값을 저장한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문제에 제시되는 명령은 프로그래밍 상 값을 특정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여기서는 MOV라는 명령을 이용한 것입니다.

    문제가 명령어의 기능을 묻는 것이 아니라면 단순히 프로그램 작업 과정에서 사용되는 명령을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에 맞게 기술한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4)

    SUB는 뺄셈, DIV는 나눗셈을 의미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