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논리식의 간소화에 대한 질문입니다
도서
[2010]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조회수
972
작성일
2011-12-05
작성자
첨부파일

불 함수 간략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보다가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해봅니다.

답변을 찾게 된건 A+AㆍB = Aㆍ(1+B) = Aㆍ1 = A 가 이해가 안되서 검색해보다가

제가 본건 이 답변이었는데요
=============================================================================
안녕하세요.

불대수 공식은 좀더 쉽고 간략화된 형태로의 변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즉 A+A가 A가 되어 A(A+B)가 된 상태에서
A+1 = A라는 것을 이용해

(A+1)(A+B)를 만들고 두 값의 공통인 A를 묶어
A(1+B)로 만든 후 1+B가 1인 것을 이용해 A로 간략화 하는 것입니다.

즉 최대한 간략화를 시키는 것에 중점을 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여기서 쓰여진 A+1 = A라는건 어디서 온건가요?
항등법칙을 봐도 A+0=A, A+1=1, A*0=0, A*1=A 라고만 나와있는데..
A+1 = A 에서
A에 1을 대입하면 1+1 = 1 이지만
A에 0을 대입하면 0+1 = 1 이지 않나요 ?
그럼 A+1=A가 성립이 안된다고 생각을 하는데
A+1=A가 어디서 나오는건지 궁금합니다...
답변
2011-12-06 09:12:57

안녕하세요.

답변에 오류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2-5p 간소화 예제1의 첫번째 내용은

A+AㆍB는 공통인 A로 묶으면 앞에는 1이 남고 뒤에는 B가 남아

A(1+B)가 됩니다.

1+B는 1입니다. 그러므로

Aㆍ1이 되어 결국은 A가 됩니다.

즉 A+AㆍB = A가 되는 것이죠.

예제1의 두번째 내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A(A+B)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AㆍA = A를 A+A=A로 잘못 설명드린 것 같습니다.

참고로

이진수는 1과 0으로 구성되므로 1+1=1, 1+0=1 이 됩니다.

결국 1에 어떤수(1, 0)를 더하든 1이 되므로 1+A=1이 됩니다.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1-12-06 09:12:57

    안녕하세요.

    답변에 오류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2-5p 간소화 예제1의 첫번째 내용은

    A+AㆍB는 공통인 A로 묶으면 앞에는 1이 남고 뒤에는 B가 남아

    A(1+B)가 됩니다.

    1+B는 1입니다. 그러므로

    Aㆍ1이 되어 결국은 A가 됩니다.

    즉 A+AㆍB = A가 되는 것이죠.

    예제1의 두번째 내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A(A+B)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AㆍA = A를 A+A=A로 잘못 설명드린 것 같습니다.

    참고로

    이진수는 1과 0으로 구성되므로 1+1=1, 1+0=1 이 됩니다.

    결국 1에 어떤수(1, 0)를 더하든 1이 되므로 1+A=1이 됩니다.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