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질문이요~
도서
[2011]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조회수
499
작성일
2011-08-11
작성자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컴퓨터 비전공자라 그런지 기본적인 어휘 때문에 이해하기 어렵네요.ㅠ

질문이 너무 많네요...

1. section91 , 단일분할할당기법은 주기억장치를 운영체제영역과 사용자 영역으로 나누잖아요, 다중분할할당기법도 같은가요?

2. section81, 스케줄링 계산 이해가 어렵네요.ㅠ 기출문제 2번에서(p3-41) SJF기법으로 하면은 실행시간이 가장 짧은순서대로 작업2->3->1 아닌가요? 왜 작업1부터인가요? 밑에 해설에 도착시간이 빨라서라 되있는데, 계산할떄 도착시간이 나오면 실행시간보다 도착시간 우선으로 해서 계산해야하나요? 다시말해서 실행시간이 길다해도 도착시간이 젤 짧으면 이게 젤 먼저 실행되나여?

3. 오버헤드가 무엇인가요.ㅠㅠㅠ 뒤로갈수록 계속 언급이 되는데... 사전찾아도 안나오고..

4. secion81에서 제출시간이 주어질경우 제출시간 차감하라고나오는데, 제출시간이 도대체 무엇인가요?3-39에서 예제2에 첫번째표에도 제출시간이 나오는데...

5. 제출시간과 도착시간은 다른 개념인가요?

6. 3-43에서 예제에 대기시간 설명되있는 부분 이해가 안가요. '대기시간을 구하고자 하는 프로세스의 가장 마지막 실행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진행시간을 이용하여 구하되 해당 프로세스가 앞에서 실행되었을 경우 실행된 시간은 제외한다'

그리고 이 설명 밑에 표에 p1의 대기시간은 26-16이라 되있는데 이것도 설명 부탁드립니다.ㅠㅠㅠ

답변
2011-08-12 09:37:11

안녕하세요.

1)

둘 다 주기억장치를 운영체제 영역과 사용자 영역으로 나누는데, 주기억장치에 OS+사용자 영역이 하나이면 단일 여러개 이면 다중 분할 할당 기법입니다.

2, 4, 5)

도착 시간이나 제출 시간은 스케줄링 안으로 작업이 들어온 시간입니다.

도착(제출)시간이 0인 것은 가장 먼저 들어온 것으로 다른 것과 비교 대상이 없으므로 실행 시간이 관계없이 우선 처리됩니다.

작업 1이 도착 시간이 0이므로 바로 처리되는데 실행 시간이 6시간입니다. 6시간 동안 처리되는 중에 작업 2(1시간 뒤 도착), 작업 3(2시간 뒤 도착)이 도착하였습니다. 1번이 아직 작업이 끝나지 않았으므로 작업 1이 끝나면 다음에 무엇을 처리할 지 정할 때 대기 중인 두 작업 중 실행시간이 짧은 작업 3을 먼저 하도록 정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처리 과정이 작업 1, 작업 3, 작업 2가 됩니다.

도착(제출) 시간이 제시되지 않으면 처리할 작업 중 가장 실행 시간이 짧은 것을 하지만 도착(제출) 시간이 제시되었다면 이를 감안해서 선정해야 하는 것이죠.

3)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더 필요로하는 시간이나 자원을 의미합니다.

오버헤드가 많아지면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죠.

6)

P1이 실행되지 않고 대기한 시간은 P2와 P3이 실행되는 시간입니다.

그 시간을 더해보면 P2(4), P3(4), P3(2)로 총 10시간입니다.

이것은 교재에 제시된 것 처럼 마지막 실행되기 전까지의 진행 시간(마지막 실행이 30이므로 그 전인 26)에서 앞서 실행된 P1의 4번의 실행시간(4*4=16)을 빼면 앞서 구한 대기 시간 10시간이 산출됩니다.

방법은 달라도 의미는 같은 것이죠. 즉 대기 시간을 구한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
    2011-08-12 09:37:11

    안녕하세요.

    1)

    둘 다 주기억장치를 운영체제 영역과 사용자 영역으로 나누는데, 주기억장치에 OS+사용자 영역이 하나이면 단일 여러개 이면 다중 분할 할당 기법입니다.

    2, 4, 5)

    도착 시간이나 제출 시간은 스케줄링 안으로 작업이 들어온 시간입니다.

    도착(제출)시간이 0인 것은 가장 먼저 들어온 것으로 다른 것과 비교 대상이 없으므로 실행 시간이 관계없이 우선 처리됩니다.

    작업 1이 도착 시간이 0이므로 바로 처리되는데 실행 시간이 6시간입니다. 6시간 동안 처리되는 중에 작업 2(1시간 뒤 도착), 작업 3(2시간 뒤 도착)이 도착하였습니다. 1번이 아직 작업이 끝나지 않았으므로 작업 1이 끝나면 다음에 무엇을 처리할 지 정할 때 대기 중인 두 작업 중 실행시간이 짧은 작업 3을 먼저 하도록 정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처리 과정이 작업 1, 작업 3, 작업 2가 됩니다.

    도착(제출) 시간이 제시되지 않으면 처리할 작업 중 가장 실행 시간이 짧은 것을 하지만 도착(제출) 시간이 제시되었다면 이를 감안해서 선정해야 하는 것이죠.

    3)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더 필요로하는 시간이나 자원을 의미합니다.

    오버헤드가 많아지면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죠.

    6)

    P1이 실행되지 않고 대기한 시간은 P2와 P3이 실행되는 시간입니다.

    그 시간을 더해보면 P2(4), P3(4), P3(2)로 총 10시간입니다.

    이것은 교재에 제시된 것 처럼 마지막 실행되기 전까지의 진행 시간(마지막 실행이 30이므로 그 전인 26)에서 앞서 실행된 P1의 4번의 실행시간(4*4=16)을 빼면 앞서 구한 대기 시간 10시간이 산출됩니다.

    방법은 달라도 의미는 같은 것이죠. 즉 대기 시간을 구한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