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1편 2-110 쪽 25번 문제
25. 아래와 같은 어셈블리 프로그램에서 뺄셈을 한 결과는 메모리의 몇 번지에 저장되는가?
ORG 100
LDA SUB
CMA
INC
ADD MIN
STA DIF
HLT
MIN, DEC 83
SUB DEC -23
DIF, HEX 0
END
가. 104 번지 나. 105 번지 다. 108 번지 라. HEX 0 번지
해답은 "다. 108 번지" 라고 되어있는데요. 다 번이 답 맞나요?
DIF에 HEX 0 가 있어서 "라. HEX 0 번지" 아닌가요?
108번지는 CODE Segment상에 존재하게 되는데 108번지가 맞으면
Code가 Segment에 결과(Data)가 적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것 아닌가요?
밑에도 질문을 올려는데 관계자 분들의 답변이 없이 완료로 나왔어요. 다른분이 답변올려준게 맞다면
그것이 맞다고 확인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ORG 100에 의해 프로그램의 시작 위치가 100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MIN, SUB, DIF는 메모리의 애칭입니다.
즉 LDA SUB 는 SUB 위치의 값인 -23을 AC로 가져오라는 의미로 여기서 SUB는 메모리 107번지의 애칭으로 사용된 것입니다.
이와 같이 수행하면 교재 해설과 같이 STA DIF에 의해 최종적으로 AC의 값, 즉 결과가 DIF 인 108번지에 저장되게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1-05-31 09:22:50
안녕하세요.
ORG 100에 의해 프로그램의 시작 위치가 100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MIN, SUB, DIF는 메모리의 애칭입니다.
즉 LDA SUB 는 SUB 위치의 값인 -23을 AC로 가져오라는 의미로 여기서 SUB는 메모리 107번지의 애칭으로 사용된 것입니다.
이와 같이 수행하면 교재 해설과 같이 STA DIF에 의해 최종적으로 AC의 값, 즉 결과가 DIF 인 108번지에 저장되게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