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질문이요
도서
2017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31
조회수
228
작성일
2017-01-20
작성자
첨부파일

정보처리기사 자격 조건에 경력이 있어야 하나요? 저는 이제 4학년이되는 학생입니다 자격조건에되는지 상세히 설명 부탁드려요 그리고 책 1-120쪽 22번 무슨말인지 답지를 봐도 모르겠어요 1-198 18번문제도 왼쪽 오른쪽 어떻게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2-31쪽에 6번에 카르노 맵에서 가로로 첫번째와 다섯번째는 왜 안되는건가요? 똑같은 사각형인데 이해가 안되요 그리고 동일문제 51번도 가로로 1234, 12, 23, 34, 26,37 은 왜 안되는건가요?

문제가 좀 많지만 자세한 설명 부탁드려요!!

답변
2017-01-20 09:41:37

안녕하세요.

4학년을 졸업한 상태라면 응시가 무조건 가능하지만 졸업 예정자인 경우 취득 학점과 관계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세한 내용을 시행처 1644-8000으로 문의하셔서 향후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준비하세요.

[1-120]

R(A, B, C) 일때

{A, B} → C 란 C가 기본키인 (A, B)에 함수적으로 종속된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C → B는 C가 기본키의 일부인 B에 대해서도 함수적 종속이므로 완전 함수적 종속이 아닙니다. : 2NF가능성

그렇다고 이행적 종속 관계, A → B이고 B → C때 A → C가 되는 관계가 없다. : 3NF가능성

테이블이 분리된 상태가 아니라서 C가 B를 결정하고 있지만 결정자 C는 후보키가 아니므로 BCNF는 아닙니다.

그러므로 현재 상태를 3NF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3NF 상태인 테이블에서 결정자 C를 후보키로 분리하여 BCNF를 만들면

R1(A, C)

R2(C, B)

이 경우 R1 테이블의 C는 R2 테이블의 기본키인 C를 참조하는 외래키가 됩니다.

[1-198]

해설의 설명과 같이 스레드 2진 트리는 닐 포인터를 트리의 운행에 이용합니다.

1-169쪽 설명처럼 어떤 노드의

왼쪽 링크의 포인터가 Nil이면 그 노드의 직전에 검사된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사용하고

오른쪽 링크의 포인터가 Nil이면 그 노드의 직후에 검사될 노드를 가르키는 포인터로 사용합니다.

문제의 트리를 Preorer 운행 기법으로 나열하면 ABDEHCFGIJ입니다.

E는 현재 오른쪽 포인터가 Nil이므로 E노드 직후에 검사될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인 H 포인터를 지정합니다.

즉 Peroere 운행 기법으로 운행할 때 E의 왼쪽 링크는 정상적으로 H이고

E의 오른쪽은 Nil이므로 오른쪽 운행도 운행 원리에 따라 H가 됩니다.

[2-31]

칸이 무조건 많다고 간소화되는 것이 아닙니다.

칸의 개수는 최대 2의 i개 즉 1, 2, 4, 8, 16, 32 ... 개가 되도록 합니다.

현재 해당 부분이 묶음 2개가 있는데, 묶음 칸의 개수를 하나 더 하면 3개가 됩니다. 그래서 불필요한 묶음이 되는 것이죠.

이는 51번도 마찬가지로 현재 묶음의 개수가 2개인데 첫 줄 전체를 하나의 묶으므로 묶으면 중간에 함께 묶여지는 묶음의 수가 3개가 됩니다. 그리고 하나의 묶음에 많은 칸이 들어갈수록 좋으므로 하나로 크게 묶을 수 있다면 쪼개서 묶지는 않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7-01-20 09:41:37

    안녕하세요.

    4학년을 졸업한 상태라면 응시가 무조건 가능하지만 졸업 예정자인 경우 취득 학점과 관계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세한 내용을 시행처 1644-8000으로 문의하셔서 향후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준비하세요.

    [1-120]

    R(A, B, C) 일때

    {A, B} → C 란 C가 기본키인 (A, B)에 함수적으로 종속된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C → B는 C가 기본키의 일부인 B에 대해서도 함수적 종속이므로 완전 함수적 종속이 아닙니다. : 2NF가능성

    그렇다고 이행적 종속 관계, A → B이고 B → C때 A → C가 되는 관계가 없다. : 3NF가능성

    테이블이 분리된 상태가 아니라서 C가 B를 결정하고 있지만 결정자 C는 후보키가 아니므로 BCNF는 아닙니다.

    그러므로 현재 상태를 3NF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3NF 상태인 테이블에서 결정자 C를 후보키로 분리하여 BCNF를 만들면

    R1(A, C)

    R2(C, B)

    이 경우 R1 테이블의 C는 R2 테이블의 기본키인 C를 참조하는 외래키가 됩니다.

    [1-198]

    해설의 설명과 같이 스레드 2진 트리는 닐 포인터를 트리의 운행에 이용합니다.

    1-169쪽 설명처럼 어떤 노드의

    왼쪽 링크의 포인터가 Nil이면 그 노드의 직전에 검사된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사용하고

    오른쪽 링크의 포인터가 Nil이면 그 노드의 직후에 검사될 노드를 가르키는 포인터로 사용합니다.

    문제의 트리를 Preorer 운행 기법으로 나열하면 ABDEHCFGIJ입니다.

    E는 현재 오른쪽 포인터가 Nil이므로 E노드 직후에 검사될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인 H 포인터를 지정합니다.

    즉 Peroere 운행 기법으로 운행할 때 E의 왼쪽 링크는 정상적으로 H이고

    E의 오른쪽은 Nil이므로 오른쪽 운행도 운행 원리에 따라 H가 됩니다.

    [2-31]

    칸이 무조건 많다고 간소화되는 것이 아닙니다.

    칸의 개수는 최대 2의 i개 즉 1, 2, 4, 8, 16, 32 ... 개가 되도록 합니다.

    현재 해당 부분이 묶음 2개가 있는데, 묶음 칸의 개수를 하나 더 하면 3개가 됩니다. 그래서 불필요한 묶음이 되는 것이죠.

    이는 51번도 마찬가지로 현재 묶음의 개수가 2개인데 첫 줄 전체를 하나의 묶으므로 묶으면 중간에 함께 묶여지는 묶음의 수가 3개가 됩니다. 그리고 하나의 묶음에 많은 칸이 들어갈수록 좋으므로 하나로 크게 묶을 수 있다면 쪼개서 묶지는 않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