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기출 2014.5 관련 문의
도서
2016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조회수
422
작성일
2016-02-08
작성자
첨부파일

<전자계산기 구조 23번 _ 다중처리기>

1. 이 문제에서 다중포트 메모리 뿐만 아니라, 크로스바 교환 행렬 연결방식도 하나의 기억장치와 프로세스가 하나의 버스로 연결된 것 아닌지요??

2. 교재 3-125 에서 크로스바 교환 연결 방식과 다중포트 기억 장치 연결 방식의 차이점이 무엇인지요??

교재에서 2가지 방식의 그림 연결도는 같은 내용을 묘사하고 있는 것 같은 데, 그 차이점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네요...

<전자계산기 구조 32번_RISC>

보기 1번에서 RISC는 실행빈도가 적은 하드웨어를 제거하여 자원이용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고 하는 데, 무슨말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네요...

RISC가 순서 회로/하드웨어로 구성되어 빠른 반면 수정이 어렵다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 데, 기설치된 하드웨어를 제거한다는 것이 무슨 말인가요???

<데이터 통신 90번 >

1. ARS / RARS 은 논리적 주소 <-> 물리적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로 이는 데이터 링크 계층 이 아닌지요??

2. X.25 의 경우 데이터 링크 인가요, 네트워크 계층 인가요

교재 5-120 에서는 X.25는 네트워크 계층이라고 되어 있는 데, 이 문제 해설의 병행학습에서는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되어 있어 혼란 스럽네요 ; : 2014.8월 기출 문제 90번에서도 X,25를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로 설명하고 있네요.....

답변
2016-02-11 10:15:01

안녕하세요.

1. 다중처리기

좀더 복잡한 구조와 내용 설명이 필요하지만

교재 내용에 기반하여 답변드리면

크로스바 교환 행렬 연결 방식은 두 개의 서로 다른 기억장치를 동시에 참조할 수 있는 것으로 실제 처리될 때는 하나의 버스로 고정되어 연결된 것은 아니라 여러 개의 버스를 통해 서로 다른 기억장치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다중포트 기억 장치는 기억장치가 메모리 만큼의 버스로 연결은 되어 있지만 실제 사용될 때는 하나의 버스를 통해 메모리를 참조합니다.

교재의 내용과 그림 만으로는 다중처리기의 모든 특징을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시험 위주의 내용만 구성하였으니 이점 학습에 참고하세요.

2.RISC

RISC는 CPU 명령어의 개수를 줄여 하드웨어 구조를 좀 더 간단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이러한 과정을 하드웨어를 줄인다고 표현합니다.

즉 명령어의 개수를 줄여 그에 따른 제어기(하드웨어)도 축소한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3. ARP/RARP

프로토콜들은 사용되는 환경 OSI 환경, TCP/IP 환경 등에 따라 계층이 구분되므로 실제 시험에서 프로토콜의 계층을 구분할 때는 사용 환경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ARP와 RARP는 TCP/IP 구조에서 언급되는 프로토콜로 TCP/IP의 인터넷 계층에 해당합니다.

5-125쪽의 표는 TCP/IP를 OSI에 접목하기 위한 계층 구조로 TCP/IP의 기능에 속한 프로토콜이 연결된 OSI 환경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X.25 프로토콜 또한 내부 기능에 따라 계층이 물리, 프레임, 패킷으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라 물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네크워크 계층으로 폭 넓게 적용됩니다.

그러므로 어느 계층 하나에 국한된 프로토콜로 볼 수 없으며 문제도 X.25가 어느 계층이냐는 식으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6-02-11 10:15:01

    안녕하세요.

    1. 다중처리기

    좀더 복잡한 구조와 내용 설명이 필요하지만

    교재 내용에 기반하여 답변드리면

    크로스바 교환 행렬 연결 방식은 두 개의 서로 다른 기억장치를 동시에 참조할 수 있는 것으로 실제 처리될 때는 하나의 버스로 고정되어 연결된 것은 아니라 여러 개의 버스를 통해 서로 다른 기억장치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다중포트 기억 장치는 기억장치가 메모리 만큼의 버스로 연결은 되어 있지만 실제 사용될 때는 하나의 버스를 통해 메모리를 참조합니다.

    교재의 내용과 그림 만으로는 다중처리기의 모든 특징을 설명할 수 없으므로 시험 위주의 내용만 구성하였으니 이점 학습에 참고하세요.

    2.RISC

    RISC는 CPU 명령어의 개수를 줄여 하드웨어 구조를 좀 더 간단하게 만드는 방식으로 이러한 과정을 하드웨어를 줄인다고 표현합니다.

    즉 명령어의 개수를 줄여 그에 따른 제어기(하드웨어)도 축소한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3. ARP/RARP

    프로토콜들은 사용되는 환경 OSI 환경, TCP/IP 환경 등에 따라 계층이 구분되므로 실제 시험에서 프로토콜의 계층을 구분할 때는 사용 환경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ARP와 RARP는 TCP/IP 구조에서 언급되는 프로토콜로 TCP/IP의 인터넷 계층에 해당합니다.

    5-125쪽의 표는 TCP/IP를 OSI에 접목하기 위한 계층 구조로 TCP/IP의 기능에 속한 프로토콜이 연결된 OSI 환경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X.25 프로토콜 또한 내부 기능에 따라 계층이 물리, 프레임, 패킷으로 구분되는데, 이에 따라 물리 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네크워크 계층으로 폭 넓게 적용됩니다.

    그러므로 어느 계층 하나에 국한된 프로토콜로 볼 수 없으며 문제도 X.25가 어느 계층이냐는 식으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