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교재와 토막강이 내용이 모두 맞습니다.
반환시간은 대기시간+실행시간입니다.
교재 3-39에서 착각할 수 있는 부분이 P2와 P3의 도착 시간이 0이 아니라 각각 1과 2라는 것입니다.
도착 시간이 0인 경우에는 완료 시간과 반환시간이 같지만
도착 시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반환시간을 구하는 공식인 "대기시간+실행시간"을 적용해야 합니다.
그래서 교재 3-39쪽 SJF의 예제는
P2는 대기시간(23)+실행시간(7) = 반환시간(30)이 됩니다.
P3은 대기시간(18)+실행시간(4) = 반환시간(22)이 됩니다.
P1은 도착시간이 0이므로 대기시간(0)+실행시간(20) = 반환시간(20)으로 완료시간(20)과 동일합니다.
토막 강의의 내용은 도착시간이 모두 0이기때문에 반환시간이 완료시간과 같은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교재와 토막 강의 내용이 모두 맞다고 하셨는데요
교재의 내용은
P2는 대기시간(23)+실행시간(7) = 반환시간(30)이 됩니다.
P3은 대기시간(18)+실행시간(4) = 반환시간(22)이 됩니다.
P1은 도착시간이 0이므로 대기시간(0)+실행시간(20) = 반환시간(20)으로 완료시간(20)과 동일합니다.
P2 = 30
P3 = 22
P1 = 20
이고 토막 강의의 내용도 도착 시간이 다르며 설명 시 마지막 값이 반환 시간이라고 설명하며.
P2 = 31
P3 = 24
P1 = 20
이라고 하는데
두 내용 다 맞는게 맞는지요? (파일 첨부 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토막강의가 기본서와 문제집이 달라 혼동되어 잘못된 답변을 드렸습니다.
기본서 내용을 다시 확인하니 말씀하신데로
P3의 반환시간이 "대기시간+실행시간"으로 설명은 하였지만
실제 계산 값은 종료 시간인 24로 설정하였습니다.
도착 시간이 0이므로 종료시간이 아닌 "대기시간+실행시간"으로 계산하여
P1 20
P3 22
P2 30으로 설정하여
(20+22+30) / 3 = 24로 산출되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2-01 09:23:21
안녕하세요.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토막강의가 기본서와 문제집이 달라 혼동되어 잘못된 답변을 드렸습니다.
기본서 내용을 다시 확인하니 말씀하신데로
P3의 반환시간이 "대기시간+실행시간"으로 설명은 하였지만
실제 계산 값은 종료 시간인 24로 설정하였습니다.
도착 시간이 0이므로 종료시간이 아닌 "대기시간+실행시간"으로 계산하여
P1 20
P3 22
P2 30으로 설정하여
(20+22+30) / 3 = 24로 산출되어야 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