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SJF관련문제 풀이가 교재내용과 토막강의내용이 상이 하며 동일 질문에 대한 답변도 서로 다릅니다.
도서
2016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페이지
339
조회수
351
작성일
2016-01-28
작성자
첨부파일

평균 반환시간에 대한 교제 내용과 토막 강의 내용이 다르며

동일 질문에 대한 답변도 서로 다른데 도대체 어떤게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반환 시간은 대기시간과 실행시간의 합으로 도식화된 표에서 가장 마지막 값에 해당합니다.

그러므로 예제2)의 반환시간은 (20+24+31)/3 = 25가 됩니다.

교재의 내용을 수정하여 정오표에 등록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반환시간은 대기시간+실행시간으로 교재에 수록된 내용이 맞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답변
2016-01-29 09:59:23

안녕하세요.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교재와 토막강이 내용이 모두 맞습니다.

반환시간은 대기시간+실행시간입니다.

교재 3-39에서 착각할 수 있는 부분이 P2와 P3의 도착 시간이 0이 아니라 각각 1과 2라는 것입니다.

도착 시간이 0인 경우에는 완료 시간과 반환시간이 같지만

도착 시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반환시간을 구하는 공식인 "대기시간+실행시간"을 적용해야 합니다.

그래서 교재 3-39쪽 SJF의 예제는

P2는 대기시간(23)+실행시간(7) = 반환시간(30)이 됩니다.

P3은 대기시간(18)+실행시간(4) = 반환시간(22)이 됩니다.

P1은 도착시간이 0이므로 대기시간(0)+실행시간(20) = 반환시간(20)으로 완료시간(20)과 동일합니다.

토막 강의의 내용은 도착시간이 모두 0이기때문에 반환시간이 완료시간과 같은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6-01-29 09:59:23

    안녕하세요.

    학습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교재와 토막강이 내용이 모두 맞습니다.

    반환시간은 대기시간+실행시간입니다.

    교재 3-39에서 착각할 수 있는 부분이 P2와 P3의 도착 시간이 0이 아니라 각각 1과 2라는 것입니다.

    도착 시간이 0인 경우에는 완료 시간과 반환시간이 같지만

    도착 시간이 0이 아닌 경우에는 반환시간을 구하는 공식인 "대기시간+실행시간"을 적용해야 합니다.

    그래서 교재 3-39쪽 SJF의 예제는

    P2는 대기시간(23)+실행시간(7) = 반환시간(30)이 됩니다.

    P3은 대기시간(18)+실행시간(4) = 반환시간(22)이 됩니다.

    P1은 도착시간이 0이므로 대기시간(0)+실행시간(20) = 반환시간(20)으로 완료시간(20)과 동일합니다.

    토막 강의의 내용은 도착시간이 모두 0이기때문에 반환시간이 완료시간과 같은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