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문제은행 관련 문의 입니다
10번 ; 보기3번에서 오류 검출을 위한 BCC (Block Check Character)가 포함된다고 하였는 데, BCC가 무엇인지요?
교재 Section 160 에서는 BSC의 경우에는 각 프레임에 전송 제어 문자를 삽입하여 전송을 제어한다고
하였는 데, BSC에서도 HDLC의 FCS와 같이 오류 검출을 위한 별도의 케렉터가 전송제어 문자와 별도로
삽입되는건가요 ??
16번 ; 문제 22번과 중복되었네요.
교재 내용을 보면 , 데이터의 자유로운 전송을 보장하며, Flag의 비트 투과성 (투명성과 같은 말인가요 ??) 을
이용한 기본적인 오류 검출 기능이라고 하여, 정답이 2번에 더 가까운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22번 해설 마지막에서 두번째 줄에 11110은 111110 이 맞는 것 아닌가요??
41번; ETB 와 EOT 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문제에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전송 종료라고 하여 TEXT가 여럿이니까 Transmission block이 아닌가 했네요.
안녕하세요.
1)
BCC는 BSC 프레임의 가장 마지막에 추가되는 것으로
HDLC의 FCS와 같이 오류 검출을 위한 추가 항목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2)
의미 있는 제어 문자와 전송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한 작업을 비트 투과성(투명성)이라고 합니다.
전송 제어 문자에서 DLE를 삽입하는 경우와 Flag의 비트 투과성을 위해 1이 5번 연속되는 경우 강제로 0을 추가하는 등의 작업을 의미합니다.
이는 오류 검출 목적이 아니라 제어 문자와 전송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아야 합니다.
※ 11110을 111110으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3)
ETB는 전송되는 블록의 종료이고
EOT는 전송의 종료입니다.
전송 제어 문자와 관련된 문제는 문제에 제시된 내용을 근거로 유추하면 되는데,
문제에서는 전송 종료를 묻는 것이므로 EOT가 됩니다. 블록 종료라면 ETB가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1-25 09:35:48
안녕하세요.
1)
BCC는 BSC 프레임의 가장 마지막에 추가되는 것으로
HDLC의 FCS와 같이 오류 검출을 위한 추가 항목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2)
의미 있는 제어 문자와 전송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한 작업을 비트 투과성(투명성)이라고 합니다.
전송 제어 문자에서 DLE를 삽입하는 경우와 Flag의 비트 투과성을 위해 1이 5번 연속되는 경우 강제로 0을 추가하는 등의 작업을 의미합니다.
이는 오류 검출 목적이 아니라 제어 문자와 전송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아야 합니다.
※ 11110을 111110으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3)
ETB는 전송되는 블록의 종료이고
EOT는 전송의 종료입니다.
전송 제어 문자와 관련된 문제는 문제에 제시된 내용을 근거로 유추하면 되는데,
문제에서는 전송 종료를 묻는 것이므로 EOT가 됩니다. 블록 종료라면 ETB가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