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3-6 페이지 기출문제 2번에서 컴퍼일러 - 어셈불러 - 링커 - 로더는 comfiling 번역 기법에 적용되는 점을 감안시, 인터프리커가 나머지 3개와 성결이 다르다고 볼수도 있는 것 아닌지요??
2. 3-10 페이지에서 다중프로그래밍 시스템, 시분할 시스템과 실시간 처리 시스템의 차이점이 무엇인지요??
다중프로래밍 시스템에 의거하여 주기억장치에 등록된 여려 프로그램밍을 라운드 로빈 방식에 의거하여 시분할 처리를 하면 그 결과 실시간 처리 가 되는 것으로 위 3가지는 동일한 시스템을 보는 관점에 따라 달리 표현된 것이 아닌가요??
3-13페이지 5번 문제 관련하여서, 시분할 뿐만아니라, 다중프로그램이나 실시간 처리 시스템인 경우에도 라운도 로빈 방식이 적용되지 않는지요??
3. 3-15 페이지 4. 컴파일러와 인테프리터의 개요에서,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는 고급언어로 작성된 원시 프로그램을 목적 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번역 프로 그램이라고 하였는 데, 6. 인터프리터에서는 프로그램이 직접 실행되므로 목적프로그램이 생성되지 않는다고 하여 내용이 상출되는 것 같네요 ( 4절 내용을 수정해야 하는 것으로 보임)
3-16 페이지 기출 문제 3번에서 인터프리터가 시분할시스템에 유용하다고 하였는 데, 이 점은 잘 이해가 되지 않네요. 왜 그런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4. 3-26 페이지 에상 문제 20번에서 보기 1번의 기억용량을 줄일수 있다도 정답이 아닌지요 (3-20페이지 매크로와 부프로그램 비교 중 하단 특징에서도 기억장소가 절약된다고 명시되어 있음)
5. 3-30 페이지 응용문제 30번에서 어셈블리어가 고급언어 대비 메모리 이용율이 종은 프로그램을 만들수 있다는 것은 잘 이해가 되지 않네요. 어떤 점에서 그런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우선 SMS 관련 답변입니다.
웹팀에 문의한 결과 회원 정보란에 연락처가 기입되지 않아 문자 감동 서비스가 전달되지 않은 것입니다.
회원 정보를 수정하여 연락처를 등록하시면 등록한 연락처로 문자가 전송될 것입니다.
1. 이 문제는 언어 번역 프로그램과 언어 번역 과정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을 구분하는 것입니다.
인터프리터, 어셈블러, 컴파일러는 언어 번역 프로그램이고
로더는 번역 과정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입니다.
2. 개념적으로 구분한 것입니다. 운용 기법마다 발달된 순서가 다르기 때문이죠.
다중 프로그래밍은 주기억장치에 하나의 프로그램을 기억시켜두고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기억시켜두고 처리하는 방식으로 기억 용량의 증가와 CPU의 처리 속도 증가로 인해 가능해 진 것이죠. 물론 CPU의 속도가 빨리짐으로 인해 시분할 처리 형태로 사용자가 동시에 처리하는 것처럼 느끼게 된 것이구요.
시분할 방식은 컴퓨터 내부 보다는 데이터 통신의 발달되므로 인해 여러 컴퓨터나 하나의 서버를 접근하여 자원을 공유할 때 각 컴퓨터에게 시간을 분할하여 처리하는 것이죠. 시분할은 말 그대로 CPU 사용 시간을 분할하여 여러 사용자가 공동으로 작업을 수행한다는 것에 중점을 둔 것입니다.
실시간 처리는 요구하면 바로 처리한다는 개념으로 최근에는 대부분 실시간 처리, 더욱이 온라인 실시간 처리가 수행되고 있습니다.
각각이 서로 관련되어 있지만 각각의 특징적인 개념을 파악하는 것으로 이해하세요. 학습하고 있는 부분은 최근 기술의 동향이 아니라 컴퓨터 이론이므로 각각의 기술들의 개념을 파악하는 선으로 학습하세요.
3.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 모두 목적 프로그램으로 번역은 하지만 번역한 후 바로 실행하는 인터프리터의 경우 결과물로 목적 프로그램이 생성되지는 않습니다. 이와 달리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한 컴파일러는 실행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게 됩니다.
[4]의 내용은 목적 프로그램의 생성이 아니라 번역입니다. 즉 번역과 생성이 다르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생각하면 됩니다.
인터프리터는 번역 후 바로 실행하므로 명령 후 바로 실행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같은 것을 반복하는 경우는 매번 번역하고 실행하므로 이런 경우는 번역 결과물은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필요한 경우 이를 이용해 번역 과정 없이 실행하는 컴파일러에 비해 비효율적이죠.
시분할 시스템은 줄 단위로 번역, 실행을 수행해 프로그램 변화에 대한 반응이 빠른 인터프리터 방식이 컴파일러 방식에 비해 더 유용한 것입니다.
4.
3-20의 특징은
부 프로그램은 매크로에 비해 프로그램 크기가 작아지고, 기억장소가 절약되지만 실행 시간은 약간 느려짐
으로 되어 있습니다.
부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크기가 작아지고 기억장소가 절약되는 것이죠.
매크로는 이에 비해 크기가 크가 기억장소가 절약되지 않는 것이구요.
5.
어셈블리어는 사람의 언어와 유사하게 만들어진 고급 언어에 비해 기계에 더 적합한 형태의 언어입니다.
그러므로 기계, 즉 컴퓨터를 좀더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것입니다.
같은 처리를 수행하더라도 고급 언어에 비해 단계가 축소되고 불필요한 과정으로 메모리 낭비도 줄이 수 있다는 것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자격증 교재이다 보니 실제 전공서에서 다루는 이해할 수 있는 만큼의 분량이나 깊이 있는 내용은 다루지 않고 있습니다. 교재 페이지가 두꺼워 지기 때문이죠. 결국 전공서에서 다루는 내용 중 시험에 출제되는 내용만 다루고 어느 부분은 개념만 다루기 때문에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 부분은 시험에서는 개념만 다루고 내용의 이해를 통한 문제는 출제되지 않는 구나라고 생각하고 학습하시면 학습 시간과 분량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종종 매 페이지마다 내용을 확실히 이해하고 넘어가기 위해 꼼꼼히 학습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많은 부분 충분한 이해가 될 수 있도록 답변을 하겠지만 시험 범위와 관련이 적고 깊은 이해를 요하는 전공 내용의 경우 답변이 늦거나 어려울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1-07 09:48:14
안녕하세요.
우선 SMS 관련 답변입니다.
웹팀에 문의한 결과 회원 정보란에 연락처가 기입되지 않아 문자 감동 서비스가 전달되지 않은 것입니다.
회원 정보를 수정하여 연락처를 등록하시면 등록한 연락처로 문자가 전송될 것입니다.
1. 이 문제는 언어 번역 프로그램과 언어 번역 과정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을 구분하는 것입니다.
인터프리터, 어셈블러, 컴파일러는 언어 번역 프로그램이고
로더는 번역 과정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입니다.
2. 개념적으로 구분한 것입니다. 운용 기법마다 발달된 순서가 다르기 때문이죠.
다중 프로그래밍은 주기억장치에 하나의 프로그램을 기억시켜두고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기억시켜두고 처리하는 방식으로 기억 용량의 증가와 CPU의 처리 속도 증가로 인해 가능해 진 것이죠. 물론 CPU의 속도가 빨리짐으로 인해 시분할 처리 형태로 사용자가 동시에 처리하는 것처럼 느끼게 된 것이구요.
시분할 방식은 컴퓨터 내부 보다는 데이터 통신의 발달되므로 인해 여러 컴퓨터나 하나의 서버를 접근하여 자원을 공유할 때 각 컴퓨터에게 시간을 분할하여 처리하는 것이죠. 시분할은 말 그대로 CPU 사용 시간을 분할하여 여러 사용자가 공동으로 작업을 수행한다는 것에 중점을 둔 것입니다.
실시간 처리는 요구하면 바로 처리한다는 개념으로 최근에는 대부분 실시간 처리, 더욱이 온라인 실시간 처리가 수행되고 있습니다.
각각이 서로 관련되어 있지만 각각의 특징적인 개념을 파악하는 것으로 이해하세요. 학습하고 있는 부분은 최근 기술의 동향이 아니라 컴퓨터 이론이므로 각각의 기술들의 개념을 파악하는 선으로 학습하세요.
3.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 모두 목적 프로그램으로 번역은 하지만 번역한 후 바로 실행하는 인터프리터의 경우 결과물로 목적 프로그램이 생성되지는 않습니다. 이와 달리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한 컴파일러는 실행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게 됩니다.
[4]의 내용은 목적 프로그램의 생성이 아니라 번역입니다. 즉 번역과 생성이 다르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생각하면 됩니다.
인터프리터는 번역 후 바로 실행하므로 명령 후 바로 실행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같은 것을 반복하는 경우는 매번 번역하고 실행하므로 이런 경우는 번역 결과물은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한 후 필요한 경우 이를 이용해 번역 과정 없이 실행하는 컴파일러에 비해 비효율적이죠.
시분할 시스템은 줄 단위로 번역, 실행을 수행해 프로그램 변화에 대한 반응이 빠른 인터프리터 방식이 컴파일러 방식에 비해 더 유용한 것입니다.
4.
3-20의 특징은
부 프로그램은 매크로에 비해 프로그램 크기가 작아지고, 기억장소가 절약되지만 실행 시간은 약간 느려짐
으로 되어 있습니다.
부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크기가 작아지고 기억장소가 절약되는 것이죠.
매크로는 이에 비해 크기가 크가 기억장소가 절약되지 않는 것이구요.
5.
어셈블리어는 사람의 언어와 유사하게 만들어진 고급 언어에 비해 기계에 더 적합한 형태의 언어입니다.
그러므로 기계, 즉 컴퓨터를 좀더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것입니다.
같은 처리를 수행하더라도 고급 언어에 비해 단계가 축소되고 불필요한 과정으로 메모리 낭비도 줄이 수 있다는 것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자격증 교재이다 보니 실제 전공서에서 다루는 이해할 수 있는 만큼의 분량이나 깊이 있는 내용은 다루지 않고 있습니다. 교재 페이지가 두꺼워 지기 때문이죠. 결국 전공서에서 다루는 내용 중 시험에 출제되는 내용만 다루고 어느 부분은 개념만 다루기 때문에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 부분은 시험에서는 개념만 다루고 내용의 이해를 통한 문제는 출제되지 않는 구나라고 생각하고 학습하시면 학습 시간과 분량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종종 매 페이지마다 내용을 확실히 이해하고 넘어가기 위해 꼼꼼히 학습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많은 부분 충분한 이해가 될 수 있도록 답변을 하겠지만 시험 범위와 관련이 적고 깊은 이해를 요하는 전공 내용의 경우 답변이 늦거나 어려울 수 있음을 양해 바랍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