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 1-42 34번 문제에서
우선 DBMS 와 DBA의 역활을 구분하는 문제가 여러 문제 있는 데, 이를 구분한다는 것이 명확하지 않은 듯하네요.
이 문제에서, DBA 는 database를 설계하지 DBMS를 설계하지 않는 다고 하였는 데, 오히려 3번의 컴퓨터 시스템 운영이 더 정답에 가까운 것 아닌가요??
컴퓨터시스템 운영과 관련 된 DBA의 역활이 무엇인가요??
ps 1. 질문 작성 상단에 페이지 입력하는 곳에서는 1-42 와 같이 페이지 수 입력이 되지 않네요 - 단순한 숫자만 입력되고 - 과 같은 특수문자나 공란은 입력 않됨
2. 작성후 확인을 누르면 입력되는 데 너무 오래 걸려서, 처리가 되지 않았나 하여 다시 확인을 누르면 중복되어 입력되어 등록이 불편하네요....
안녕하세요.
컴퓨터와 데이터베이스는 별개의 대상입니다.
컴퓨터는 원격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 개념이라고 할 수 있죠.
DBMS는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이고 DBA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DBA의 역할이 더 포괄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시스템 운영은 컴퓨터 사용자 혹은 컴퓨터 관리자에 의해 수행됩니다.
P.S.
정보처리에서 1-46은 1과목 46쪽을 의미합니다.
그러니 질문을 남기실 때 제목에 과목을 언급하고 페이지에는 하이픈(-) 뒤의 숫자가 적으면 됩니다.
1, 2월은 특히 사용자가 많아 회선이나 시스템의 속도에 따라 등록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으니 이점 양해 바랍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6-01-06 09:57:18
안녕하세요.
컴퓨터와 데이터베이스는 별개의 대상입니다.
컴퓨터는 원격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 개념이라고 할 수 있죠.
DBMS는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이고 DBA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DBA의 역할이 더 포괄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시스템 운영은 컴퓨터 사용자 혹은 컴퓨터 관리자에 의해 수행됩니다.
P.S.
정보처리에서 1-46은 1과목 46쪽을 의미합니다.
그러니 질문을 남기실 때 제목에 과목을 언급하고 페이지에는 하이픈(-) 뒤의 숫자가 적으면 됩니다.
1, 2월은 특히 사용자가 많아 회선이나 시스템의 속도에 따라 등록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으니 이점 양해 바랍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