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필기 1권 1-52쪽 4번문제의 해설을 보면
현실세계의 자료가 데이터베이스로 표현될 수 있는 물리적 구조를 기술하는 것이 논리적 데이터모델이라고 나와있는데
1-47쪽 2번문제 해설을 보면 데이터 모델이 저장과 관련된 물리적 모델까지는 표현하지 않다고 나와있네요
그런데 이 해설 문제를 보면 2번 보기에 물리적인 구조라고 나와있는데..대체 뭐가 맞는거죠...?
안녕하세요.
데이터 모델은 현실 세계의 정보들을 컴퓨터에 표현하기 위해서 단순화, 추상화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한 개념적 모델입니다.
이러한 데이터 모델에는 개념적 모델과 논리적 모델이 있습니다.
개념적 모델의 대표적인 것이 E-R 모델입니다.
논리적 모델에는 관계 모델, 계층 모델, 네트워크 모델이 있습니다.
1-47쪽 2번 데이터 모델은 개념적 모델과 논리적 모델로만 구분됩니다. 그러므로 물리적인 구조는 기술되지 않습니다.
1-52쪽 4번 문제는 E-R 모델에 대한 설명입니다. E-R 모데은 앞서 개념적 모델의 대표 모델이라고 했죠.
즉 E-R 모델은 개념적 모델이기 때문에 4번 문제 보기 4번에 물리적 구조를 기술한다는 것은 틀린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7-27 09:46:25
안녕하세요.
데이터 모델은 현실 세계의 정보들을 컴퓨터에 표현하기 위해서 단순화, 추상화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한 개념적 모델입니다.
이러한 데이터 모델에는 개념적 모델과 논리적 모델이 있습니다.
개념적 모델의 대표적인 것이 E-R 모델입니다.
논리적 모델에는 관계 모델, 계층 모델, 네트워크 모델이 있습니다.
1-47쪽 2번 데이터 모델은 개념적 모델과 논리적 모델로만 구분됩니다. 그러므로 물리적인 구조는 기술되지 않습니다.
1-52쪽 4번 문제는 E-R 모델에 대한 설명입니다. E-R 모데은 앞서 개념적 모델의 대표 모델이라고 했죠.
즉 E-R 모델은 개념적 모델이기 때문에 4번 문제 보기 4번에 물리적 구조를 기술한다는 것은 틀린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