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과목 1챕터 논리회로 예상문제은행에서 질문드립니다.
먼저 38번 문제에서 보기3번을 보면 D플립플롭이라고 되어있는데, 개념설명 부분에서는
D-FF는 RS-FF의 R선에 인버터를 추가하여 S선과 하나로 묶어서 입력선을 하나만 구성한 FF이다.
라고 했는데 문제에서의 그림과 다른데 왜 D-FF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 다음 40번 문제에서 RS-FF의 금지상태인 R=1, S=1을 보완한 FF을 고르라는 문젠데
개념설명 부분인 2-25페이지 우측하단 전문가의 조언을 보면 문제보기에 RST가 있으면 RST가 답이고,
RST가 없으면 JK가 답이다. 라는 언급이 분명 있는데, 문제에서는 그냥 JK를 답으로 골랐네요.
RST와 JK가 둘다 보기에 있는데도요. 실제로 문제로 나올경우 어떤걸 답으로 골라야 하나요?
그리고 43번 문제에서 2번보기에 대해서 질문인데요, 2번 보기에서 "입력이 있으면" 이라는 말이
T = 1 이라는 뜻인가요? 출력이 항상 변한다는 말은 토글된다는 뜻이구요?
이렇게 세 문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1)
JK는 RS 플립플롭의 단점을 보완한 회로로 RS 플립플롭의 모든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JK로도 D 플립플롭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선에 Inverter를 추가하여 다른 선과 묶어 입력선을 한 개로 만들면 되며, 그 회로도가 문제에 제시된 형태입니다.
2)
이 문제의 핵심은 RS 플립플롭의 단점을 보완한 것입니다.
2-25쪽의 전문가의 조언은
모든 플립플롭의 기능을 포함하는 플립플롭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있을 경우
보기에 RST와 JK가 있으면 RST가 답이고, RST가 없으면 JK가 답이 된다는 것입니다.
3)
입력이 있으면 출력은 항상 변한다.
T가 1이면 출력은 현재 값의 반대가 된다.
현재 값은 0또는 1이므로 0이면 1로, 1이면 0으로 변하는 것이므로 T가 1이면 출력은 항상 변하게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7-27 09:36:45
안녕하세요.
1)
JK는 RS 플립플롭의 단점을 보완한 회로로 RS 플립플롭의 모든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JK로도 D 플립플롭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선에 Inverter를 추가하여 다른 선과 묶어 입력선을 한 개로 만들면 되며, 그 회로도가 문제에 제시된 형태입니다.
2)
이 문제의 핵심은 RS 플립플롭의 단점을 보완한 것입니다.
2-25쪽의 전문가의 조언은
모든 플립플롭의 기능을 포함하는 플립플롭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있을 경우
보기에 RST와 JK가 있으면 RST가 답이고, RST가 없으면 JK가 답이 된다는 것입니다.
3)
입력이 있으면 출력은 항상 변한다.
T가 1이면 출력은 현재 값의 반대가 된다.
현재 값은 0또는 1이므로 0이면 1로, 1이면 0으로 변하는 것이므로 T가 1이면 출력은 항상 변하게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