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필기 책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쪽수로는 2-5쪽입니다.
불대수에 대해 공부하는데 간소화에 대한 의문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A+A*B=A*1+A*B=A*(1+B)=A*1=A
라고 예제1에 풀이가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A*1+A*B 부분에서 1이 갑자기 왜 등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불대수의 분배법칙에 의해서 문제를 풀이해보면
A+A*B=(A+A)*(A+B)=A*A+B=(A*A)+(A*B)=A+A*B 로 무한 반복이 됩니다..;;
예제 풀이에서 1이 어떻게 해서 나오게 된 것인지 알면 풀릴 것 같은데 아무리 머리를 쥐어짜도
저 1이 대체 왜 나온건지 풀리지 않는 의문으로 남네요...
게다가 A*1+A*B이 어떻게 A*(1+B)이 되는 건지도 알려주세요...
설명 좀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A * 1 = A 도 부울대수 공식입니다.(2-4쪽 기본 공식 중 항등법칙)
이진수에서는 A로 올수 있는 값이 1과 0뿐인데
1*1 = 1, 0*1=0으로 A에 어떤 수를 곱하든 결과는 A가 되죠.
그래서 A와 A*1은 같은 것으로 취급하여 간소화에 대입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
(A)+(A·B) = (A·1)+(A·B)로 변환한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4-01 09:21:40
안녕하세요.
A * 1 = A 도 부울대수 공식입니다.(2-4쪽 기본 공식 중 항등법칙)
이진수에서는 A로 올수 있는 값이 1과 0뿐인데
1*1 = 1, 0*1=0으로 A에 어떤 수를 곱하든 결과는 A가 되죠.
그래서 A와 A*1은 같은 것으로 취급하여 간소화에 대입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
(A)+(A·B) = (A·1)+(A·B)로 변환한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