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데이터베이스 1-34 데이터베이스언어의 데이터 정의 언어의 기능에서
외부스키마 명세를 정의한다고 되어 있는데요.
이거를 create schema 로 스키마 정의 가능한 부분으로 이해하면은 되는지요?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물리적 구조 및 구조간의 사상을 정의한다는 부분은
create database 로 데이터 베이스 생성 이런걸 이해하면 될텐데..
물리적 구조라는 부분이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을 의미하는지 모르겠는데.
예를들어 엑세스라고 한다면은 mdb 파일을 지정하는 그런 물리적인 db파일의 경로를 지정하는 것을 의미하는것 같은데요. 맞나요?
그리고 스키마에서 사용되는 제약조건 명세는 check 옵션으로 가능한거니깐 이렇게 이해하고 ..
데이터의 물리적 순서를 규정한다는 부분도 무슨말인지 이해를 못했는데요..
자기테이프라면은 데이터 정의어에서 자기테이프 index 1번에 어떤 데이터 저장해? 이런식으로 순서대로 저장하도록한다, 이런게 가능하다는 부분인지?
아니면은 create index 처럼 인덱스를 구성해서 순서를 규정할 수 있다는것을 의미하는것인지 잘 몰라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1)
예 이해하는 것처럼, 89쪽 이후에 기술된 정의, 조작, 제어 명령들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언어의 개념을 구현하는게 맞습니다.
2)
물리적 순서란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순서를 말합니다. 데이터가 저장될 때 일정한 규칙을 정의어로 규정한다는 것이죠.
실제 저장된 순서와 달리 검색 등을 위해 인덱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인덱스는 물리적 순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3-25 09:42:33
안녕하세요.
1)
예 이해하는 것처럼, 89쪽 이후에 기술된 정의, 조작, 제어 명령들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언어의 개념을 구현하는게 맞습니다.
2)
물리적 순서란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순서를 말합니다. 데이터가 저장될 때 일정한 규칙을 정의어로 규정한다는 것이죠.
실제 저장된 순서와 달리 검색 등을 위해 인덱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인덱스는 물리적 순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