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이 잘 이해가 안가서요..
토막강의라도 있으면 좋겠는데.. 토막강의가 도움이 많이 되거든요..
샘님~ 실행단계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중 BSA를 잘 모르겠어요..
① MAR <-- MBR 의미) 페치단계에서 메모리 버퍼로 읽어들인 명령어의 주소를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로 보낸다
MBR <--- PC 의미)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로 보낸다
PC <-- MBR 의미) 메모리 버퍼레지스터안의 명령어의 번지, 즉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다시
PC로 보낸다
② M[MAR] <--- MBR 의미) MBR은 ①번에서 PC로 주소를 보냈으니 현재 비어있지 않나요?
뭘 메모리로 보낸다는 건가요?
③ PC <-- PC +1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1증가한다. 즉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
제가 받아들인 1번과 2번의 의미들이 맞는건가요?
그리고 PC->MBR-PC 반복과정을 왜하는지 잘 모르겠어요
2번은 특히나 의미 자체를 모르겠구요...
자세하게 설명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강윤석 샘님의 토막강의가 정말 많은 도움이 됩니다..
토막강의 수가 파트마다 더 늘어나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MAR <- MBR, 즉 MAR <- MBR(AD)은 MBR의 주소 부분을 MAR에 전송하는 것으로 복귀 주소를 MAR에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M(MAR) <- MBR(AD)는 MBR에 있는 주소 부분을 메모리의 MAR이 가르키는 위치에 전송하는 것으로 부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바로 전 주소(메모리의 MAR의 위치)에 복귀 주소를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즉 복귀 주소를 MAR와 실제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제어 신호 한 과정에서 세부 동작이 병행 수행되는 것으로
MBR(AD) <- PC와 PC <- MBR(AD) 과정은 거의 동시에 수행되므로 서로의 값을 교환하는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PC의 값을 MBR의 주소 부분에 저장하고 MBR의 주소 부분을 PC로 저장하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2-09 09:33:04
안녕하세요.
MAR <- MBR, 즉 MAR <- MBR(AD)은 MBR의 주소 부분을 MAR에 전송하는 것으로 복귀 주소를 MAR에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M(MAR) <- MBR(AD)는 MBR에 있는 주소 부분을 메모리의 MAR이 가르키는 위치에 전송하는 것으로 부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바로 전 주소(메모리의 MAR의 위치)에 복귀 주소를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즉 복귀 주소를 MAR와 실제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제어 신호 한 과정에서 세부 동작이 병행 수행되는 것으로
MBR(AD) <- PC와 PC <- MBR(AD) 과정은 거의 동시에 수행되므로 서로의 값을 교환하는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PC의 값을 MBR의 주소 부분에 저장하고 MBR의 주소 부분을 PC로 저장하는 것이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