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20의 전문간의 조언을 보면 디코더를 이용한 반가산기 내용이 있는데
반가산기가 2X4 디코더 1개와 3입력의 OR게이트 1개로 구현될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디코더에서 D0, D1, D2, D3를 봤을 때
반가산기의 SUM이 D1+D2이고 CARRY가 D3 이지 않나요?
만약 이게 맞다면 반가산기는 디코더 1개와 3입력의 OR게이트 1개가 아니고
디코더 1개와 2입력의 OR게이트 그리고 BUFFER 게이트 1개로 구성되는 것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디코더를 이용해 OR게이트로 연결되는 연결선은 진리표를 연계해서 확인할 때 1인 값들입니다.
전가산기의 경우 Sum 게이트로 연결되는 디코더의 연결선은 1, 2, 4, 7번선이고 Carry로 연결되는 디코더의 연결선은 3, 5, 6, 7번입니다. 입력선이 총 8개 사용되는데 하나의 게이트에 8개를 수용할 수 없어 2개로 분리한 것이죠.
반가산기의 경우 Sum은 디코더의 연결선 중 1, 2번, Carry는 3번인데, 이는 3개의 연결선만을 이용하여 하나의 OR 게이트로 연결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2*4 디코더 1개와 3개 입력선이 있는 1개의 OR 게이트로 구현된다고 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1-12 09:32:48
안녕하세요.
디코더를 이용해 OR게이트로 연결되는 연결선은 진리표를 연계해서 확인할 때 1인 값들입니다.
전가산기의 경우 Sum 게이트로 연결되는 디코더의 연결선은 1, 2, 4, 7번선이고 Carry로 연결되는 디코더의 연결선은 3, 5, 6, 7번입니다. 입력선이 총 8개 사용되는데 하나의 게이트에 8개를 수용할 수 없어 2개로 분리한 것이죠.
반가산기의 경우 Sum은 디코더의 연결선 중 1, 2번, Carry는 3번인데, 이는 3개의 연결선만을 이용하여 하나의 OR 게이트로 연결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2*4 디코더 1개와 3개 입력선이 있는 1개의 OR 게이트로 구현된다고 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