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p “1장 Section1. 정보 시스템”의 “3. 자료 처리 시스템” 중 일괄처리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보면 ‘테이프와 같은 순차 접근 방법을 사용하는 업무에 적합하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순차 접근 방식은 오히려 온라인 실시간 처리로 하는 게(순차적으로 실시간으로 처리한다는 측면에서) 적합한 것이 아닌가요? 왜 일괄처리 시스템이 순차 접근 방법에 더 적합한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1-41p 예상문제은행25번의 다와 라가 왜 개념 스키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지 모르겠습니다.
다를 보면 ‘개념적 레코드에 대해 다중 유형의 복수 어커런스들로 구성된다’라고 되어 있는데, 어커런스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개념 스키마에 대한 설명을 보면 하나만 존재한다고 되어 있는데 왜 다중 유형의 복수 어커런스로 구성되어 있다는 설명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라에서는 ‘개념DDL이라는 데이터 정의 언어를 사용해서 작성한다’고 나와있는데, DDL의 기능을 보면 외부 스키마 명세를 정의한다고 나와있습니다. 그리고 개념 스키마의 설명에서 ‘개념 스키마는 개체 간의 관계와 제약 조건을 나타내고 데이터베이스의 접근 권한, 보안 및 무결성 규칙에 관한 명세를 정의한다’라고 한 것을 보면 스키마에 사용되는 제약 조건에 대한 명세를 정의하는DDL 뿐만 아니라 무결성, 보안 및 권한 제어 등을 위한 언어인DCL(데이터 제어 언어)를 사용해야 하는 게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실시간 처리와 대비되는 것은 일괄 처리입니다.
요구가 있을 때마다 바로 처리하느냐 아니면 요구를 일정 시간이나 양이 될 때까지 모았다가 한꺼번에 처리하는냐로 구분하는데, 전자가 실시간 처리이고 후자가 일괄 처리입니다.
순차 접근과 대비되는 개념은 임의 접근입니다. 처음부터 차례로 처리를 하는 것을 순차 처리(접근)라 하고 순서에 관계없이 임의의 위치에 접근해서 처리하는 것을 랜덤(임의) 처리(접근)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일정 양이나 일정 시간동안 작업을 모았다가 처리하는 경우에는 앞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처리를 수행합니다.
실시간 처리의 경우 갑자기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의 요구가 있는 경우 순서에 관계없이 요구된 해당 작업을 임의로 먼저 처리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연유로 모든 경우가 아니라 일반적으로 일괄처리는 순차접근 업무에 적합하다라고 합니다.
어커런스란 인스턴트(개체를 구성하는 속성들이 값을 가져 하나의 개체를 나타내는 것)와 같은 의미입니다.
스카마는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을 의미하며, 인스턴스에 의해 규정된다. 라고 되어 있으며, 인스턴트는 구체적인 데이터 값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데이터 값은 다양한 유형의 여러 개를 갖을 수 있는데, 다중 유형의 복수 어커런스란 이런 경우를 의미합니다.(1-31p 참조)
스키마 명세를 정의하는 것은 DDL입니다. 이미 정의된 명세, 즉 세부적인 규칙을 기준으로 하여 각종 보안 및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DCL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15-01-02 09:39:05
안녕하세요.
실시간 처리와 대비되는 것은 일괄 처리입니다.
요구가 있을 때마다 바로 처리하느냐 아니면 요구를 일정 시간이나 양이 될 때까지 모았다가 한꺼번에 처리하는냐로 구분하는데, 전자가 실시간 처리이고 후자가 일괄 처리입니다.
순차 접근과 대비되는 개념은 임의 접근입니다. 처음부터 차례로 처리를 하는 것을 순차 처리(접근)라 하고 순서에 관계없이 임의의 위치에 접근해서 처리하는 것을 랜덤(임의) 처리(접근)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일정 양이나 일정 시간동안 작업을 모았다가 처리하는 경우에는 앞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처리를 수행합니다.
실시간 처리의 경우 갑자기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의 요구가 있는 경우 순서에 관계없이 요구된 해당 작업을 임의로 먼저 처리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연유로 모든 경우가 아니라 일반적으로 일괄처리는 순차접근 업무에 적합하다라고 합니다.
어커런스란 인스턴트(개체를 구성하는 속성들이 값을 가져 하나의 개체를 나타내는 것)와 같은 의미입니다.
스카마는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을 의미하며, 인스턴스에 의해 규정된다. 라고 되어 있으며, 인스턴트는 구체적인 데이터 값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데이터 값은 다양한 유형의 여러 개를 갖을 수 있는데, 다중 유형의 복수 어커런스란 이런 경우를 의미합니다.(1-31p 참조)
스키마 명세를 정의하는 것은 DDL입니다. 이미 정의된 명세, 즉 세부적인 규칙을 기준으로 하여 각종 보안 및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DCL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