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포인트를 작업할 때, 목차에서나 마지막 슬라이드 6 작업을 할 때 도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색을 지정하지 않으면 파랑색으로 나옵니다.
저는 지금까지 색깔을 지정하지 않고 모든 도형이 파란색으로 나오게 작업을 하였는데요.
혹시, 도형(또는 스마트 아트)마다 색깔이 다 달라야 하나요? 아니면 저처럼 색깔 지정 하지 않고 파란색으로 해도 되나요??
그리고, 파워포인트 첫번째 슬라이드에서 도형 편집하는 단계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도형을 만들어 놓고 그림을 삽입을 하고 나면, 가끔씩 그림이 삽입되는 형태가 시험지와 좌우대칭이거나 상하대칭일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피아노 검은색 건반이 문제지에서는 왼쪽인데 삽입된 형태는 건반이 오른쪽인 경우)
이럴 때도 감점의 요인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도형의 채우기 색에 대해서는 세부조건이 없으므로 기본 색으로 두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지정된 채우기 색과 제목 도형에 삽입된 텍스트의 글꼴 색이 겹칠 경우 다른 색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파워포인트 2010에서 삽입된 도형에는 기본적으로 ‘파랑, 강조 1’이 지정되는데, 도형에 입력된 텍스트의 글꼴 색이 ‘파랑’으로 지정되었을 경우 도형의 채우기 색을 다른 색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2. 네 감점이 됩니다.
도형을 회전한 후 그림을 넣으면 도형이 회전된 방향으로 그림도 회전이 됩니다.
문제를 봐서 그림이 회전되지 않은 도형을 먼저 작업한 후 그림을 삽입하여 복사한 후 출력형태에 맞게 회전해야 합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
관리자2020-08-04 09:24:05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도형의 채우기 색에 대해서는 세부조건이 없으므로 기본 색으로 두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지정된 채우기 색과 제목 도형에 삽입된 텍스트의 글꼴 색이 겹칠 경우 다른 색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파워포인트 2010에서 삽입된 도형에는 기본적으로 ‘파랑, 강조 1’이 지정되는데, 도형에 입력된 텍스트의 글꼴 색이 ‘파랑’으로 지정되었을 경우 도형의 채우기 색을 다른 색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2. 네 감점이 됩니다.
도형을 회전한 후 그림을 넣으면 도형이 회전된 방향으로 그림도 회전이 됩니다.
문제를 봐서 그림이 회전되지 않은 도형을 먼저 작업한 후 그림을 삽입하여 복사한 후 출력형태에 맞게 회전해야 합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