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덕분에 쉽게 공부하고있씁니당 항상 감사해욤
1) 028 SUMIF 함수
SUMIF(조건이 적용될 범위, 조건, 합계를 구할 범위) 에서 기본예제를 보시면, 조건에 "컴퓨터"라고 해놓았는데 컴퓨터 대신 A5 이나 A8을 쓰면 오류가 생기는 건가요??
A5 이나 A8 둘다 컴퓨터를 뜻하는 필드인데 필드를 그대로 쓰면 오류가 나올지 궁금합니다.
2) SUMPRODUT 함수
이 함수는 배열 1 이랑 배열 2.... 등등이 열이나 행의 길이가 무조건 같아야 하는 함수인거같은데 맞나요
3) 032 MOD
MOD( 어떠한수 , 2 ) = 0 이면 짝수라고 알고있씁니다
그러면 MOD( 어떠한수 , 2 ) = 1 은 홀수인가요?
4) ROUNDDOWN 함수
4-1)기출문제 따라잡기에서 할인율을 $C$2 라고 했는데
할인율 이라는 걸 $B$2:$C$2 라고 표현을 하면 안되던대
필드명이 들어갔고 필드명은 데이터 베이스 함수에서만 쓸수있어서 그런건가용??
4-2) 절대값은 기출문제따라잡기에서 할인율 처럼, 조건이 본필드가 아닌
다른필드에 있을때 그 값을 계속 쓰기위해 고정시켜야 하는건가요?
언제 써야하는 건가용
5) 037 ABS
이 함수는 인수가 무조건 하나만 있어야하나요?
6) 040 TRUNC 함수
이 함수는 INT 함수랑 둘이 음수를 사용할때만 결과가 다르다던대
6-1 ) 일단 양수를 사용했을때는 TRUNC 함수의 자릿수가 0이라는 가정하인가요?
6-2 ) 그리고 음수는 결과가 다르다는건
TRUNC(-4) = -4 자릿수가 0이면 그 수가 그대로 나오는데
IBT(-4) = -4
그럼 이런 경우는 결과같지만
TRUNC(-4.5) = -4.5
IBT(-4.5) = -5
라는 경우가 생겨서 음수일때는 똑같지는 않다는 건가요?
7) ODD
궁금한게 가장 가까운 홀수 찾는건데
양수는 1 - 3 / 4 - 5 이런식으로 큰수중 가장 가까운 홀수로 변환하는데
음수는 -2 가 -3 으로 변환하더라고요 음수는 0에 가까운 수가 더 큰데
이 함수는 그거를 반영하고 있찌는 않아서 그런대
이 함수에서는 그냥 부호 상관없이 큰수중 가장 가까운 홀수로만 변환하는 함수인가요
항상 고생하십니당
안녕하세요.
1) 028 SUMIF 함수
SUMIF(조건이 적용될 범위, 조건, 합계를 구할 범위) 에서 기본예제를 보시면, 조건에 "컴퓨터"라고 해놓았는데 컴퓨터 대신 A5 이나 A8을 쓰면 오류가 생기는 건가요?? A5 이나 A8 둘다 컴퓨터를 뜻하는 필드인데 필드를 그대로 쓰면 오류가 나올지 궁금합니다.
-> "컴퓨터" 대신 "컴퓨터"가 입력된 셀 주소를 지정해도 됩니다.
2) SUMPRODUT 함수
이 함수는 배열 1 이랑 배열 2.... 등등이 열이나 행의 길이가 무조건 같아야 하는 함수인거같은데 맞나요
-> 네 맞습니다.
3) 032 MOD
MOD( 어떠한수 , 2 ) = 0 이면 짝수라고 알고있씁니다
그러면 MOD( 어떠한수 , 2 ) = 1 은 홀수인가요?
-> 네 맞습니다.
4) ROUNDDOWN 함수
4-1)기출문제 따라잡기에서 할인율을 $C$2 라고 했는데
할인율 이라는 걸 $B$2:$C$2 라고 표현을 하면 안되던대
필드명이 들어갔고 필드명은 데이터 베이스 함수에서만 쓸수있어서 그런건가용??
-> 네 맞습니다. 값을 계산할 때는 실제 값이 입력된 셀만을 지정해야 합니다. 함수의 경우는 함수의 종류에 따라 필드명까지 포함해서 범위를 지정해야 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으니 구분하여 알아두세요.
4-2) 절대값은 기출문제따라잡기에서 할인율 처럼, 조건이 본필드가 아닌 다른필드에 있을때 그 값을 계속 쓰기위해 고정시켜야 하는건가요?
언제 써야하는 건가용
5) 037 ABS
이 함수는 인수가 무조건 하나만 있어야하나요?
6) 040 TRUNC 함수
이 함수는 INT 함수랑 둘이 음수를 사용할때만 결과가 다르다던대
6-1 ) 일단 양수를 사용했을때는 TRUNC 함수의 자릿수가 0이라는 가정하인가요?
-> 양수, 음수 상관 없이 TRUNC(인수, 자릿수)과 같이 자릿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자릿수를 생략한 경우는 자릿수가 0이라고 보면 됩니다.
6-2 ) 그리고 음수는 결과가 다르다는건
TRUNC(-4) = -4 자릿수가 0이면 그 수가 그대로 나오는데
IBT(-4) = -4
그럼 이런 경우는 결과같지만
TRUNC(-4.5) = -4.5
IBT(-4.5) = -5
라는 경우가 생겨서 음수일때는 똑같지는 않다는 건가요?
-> TRUNC는 주어진 자릿수 이하의 값을 무조건 제거하여 정수로 반환하지만 INT 함수는 해당 값보다 크지 않은 정수로 반환합니다.
TRUNC(-4.5) = -4.5 -> 소수점 이하의 값을 제거하므로 결과는 -4가 됩니다.
IBT(-4.5) = -5 -> -4.5보다 크지 않은 정수로 변환해야 하므로 -4가 아닌 -5가 되는 것입니다. -4는 -4.5보다 크기때문입니다.
7) ODD
궁금한게 가장 가까운 홀수 찾는건데
양수는 1 - 3 / 4 - 5 이런식으로 큰수중 가장 가까운 홀수로 변환하는데
음수는 -2 가 -3 으로 변환하더라고요 음수는 0에 가까운 수가 더 큰데
이 함수는 그거를 반영하고 있찌는 않아서 그런대
이 함수에서는 그냥 부호 상관없이 큰수중 가장 가까운 홀수로만 변환하는 함수인가요
-> ODD 함수는 주어진 인수보다 큰 수 중 가장 가까운 홀수로 변환하고 음수인 경우 인수보다 작은 수 중 가장 가까운 홀수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0-06-09 10:31:18
안녕하세요.
1) 028 SUMIF 함수
SUMIF(조건이 적용될 범위, 조건, 합계를 구할 범위) 에서 기본예제를 보시면, 조건에 "컴퓨터"라고 해놓았는데 컴퓨터 대신 A5 이나 A8을 쓰면 오류가 생기는 건가요?? A5 이나 A8 둘다 컴퓨터를 뜻하는 필드인데 필드를 그대로 쓰면 오류가 나올지 궁금합니다.
-> "컴퓨터" 대신 "컴퓨터"가 입력된 셀 주소를 지정해도 됩니다.
2) SUMPRODUT 함수
이 함수는 배열 1 이랑 배열 2.... 등등이 열이나 행의 길이가 무조건 같아야 하는 함수인거같은데 맞나요
-> 네 맞습니다.
3) 032 MOD
MOD( 어떠한수 , 2 ) = 0 이면 짝수라고 알고있씁니다
그러면 MOD( 어떠한수 , 2 ) = 1 은 홀수인가요?
-> 네 맞습니다.
4) ROUNDDOWN 함수
4-1)기출문제 따라잡기에서 할인율을 $C$2 라고 했는데
할인율 이라는 걸 $B$2:$C$2 라고 표현을 하면 안되던대
필드명이 들어갔고 필드명은 데이터 베이스 함수에서만 쓸수있어서 그런건가용??
-> 네 맞습니다. 값을 계산할 때는 실제 값이 입력된 셀만을 지정해야 합니다. 함수의 경우는 함수의 종류에 따라 필드명까지 포함해서 범위를 지정해야 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으니 구분하여 알아두세요.
4-2) 절대값은 기출문제따라잡기에서 할인율 처럼, 조건이 본필드가 아닌 다른필드에 있을때 그 값을 계속 쓰기위해 고정시켜야 하는건가요?
언제 써야하는 건가용
5) 037 ABS
이 함수는 인수가 무조건 하나만 있어야하나요?
6) 040 TRUNC 함수
이 함수는 INT 함수랑 둘이 음수를 사용할때만 결과가 다르다던대
6-1 ) 일단 양수를 사용했을때는 TRUNC 함수의 자릿수가 0이라는 가정하인가요?
-> 양수, 음수 상관 없이 TRUNC(인수, 자릿수)과 같이 자릿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자릿수를 생략한 경우는 자릿수가 0이라고 보면 됩니다.
6-2 ) 그리고 음수는 결과가 다르다는건
TRUNC(-4) = -4 자릿수가 0이면 그 수가 그대로 나오는데
IBT(-4) = -4
그럼 이런 경우는 결과같지만
TRUNC(-4.5) = -4.5
IBT(-4.5) = -5
라는 경우가 생겨서 음수일때는 똑같지는 않다는 건가요?
-> TRUNC는 주어진 자릿수 이하의 값을 무조건 제거하여 정수로 반환하지만 INT 함수는 해당 값보다 크지 않은 정수로 반환합니다.
TRUNC(-4.5) = -4.5 -> 소수점 이하의 값을 제거하므로 결과는 -4가 됩니다.
IBT(-4.5) = -5 -> -4.5보다 크지 않은 정수로 변환해야 하므로 -4가 아닌 -5가 되는 것입니다. -4는 -4.5보다 크기때문입니다.
7) ODD
궁금한게 가장 가까운 홀수 찾는건데
양수는 1 - 3 / 4 - 5 이런식으로 큰수중 가장 가까운 홀수로 변환하는데
음수는 -2 가 -3 으로 변환하더라고요 음수는 0에 가까운 수가 더 큰데
이 함수는 그거를 반영하고 있찌는 않아서 그런대
이 함수에서는 그냥 부호 상관없이 큰수중 가장 가까운 홀수로만 변환하는 함수인가요
-> ODD 함수는 주어진 인수보다 큰 수 중 가장 가까운 홀수로 변환하고 음수인 경우 인수보다 작은 수 중 가장 가까운 홀수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