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189쪽 3번 답에 보면
예매수량 평균 이상인 공연명의 개수(e14)
=COUNTIF(H5:H12,">="&AVERAGE(H5:H12))&"개"
여기서 &은 왜 " 따옴표 안에 들어가 있고,
왜 두개가 쓰였으며
P.196쪽
1번 답이
연식(I5) : YEAR(D5)&"년식"
여기선 왜 &가 밖에 하나만 나와있는지 전혀 이해가 되지가 않아서
외워지지도 않습니다.. 계속 &에 대해 문제가 나오던데 외우는것도 문제마다 다르면.. 이해가 되질 않아요
조금이라도 이해가 될수 있게끔 설명 쉽게 자세히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countif(범위, 조건)는 이 형식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조건은 일반적으로 " "로 묶어줍니다. 하지만 " "로 묶어줄때는 " "로 묶여진 내용과 동일할 때입니다. 이것은 약속이라서 이 형식을 외우셔야 합니다. 그런데 조건으로 수식(average)을 이용할 경우에는 " "로 묶어주면 안되기 때문에 " " 안에서 나오도록 합니다. 그러나 등호나 부등호는 " "로 묶어줘야 합니다. 그래서 기호는 " "로 묶으시고, 부등호와 뒤의 수식이 하나의 조건을 나타내는 것이라는 의미로 연결 문자 &를 이용하여 연결해주는 것입니다.
뒤에 "개"라고 지정한 것은 앞의 수식의 결과 뒤에 "개"를 붙이겠다는 의미입니다. &는 앞과 뒤 내용을 연결하여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연결 문자이기 때문에 위와 같이 사용된 것입니다. 앞의 결과 뒤에 "개"가 표시됩니다.
=COUNTIF(H5:H12,">="&AVERAGE(H5:H12))의 결과가 4이면 4개로 표시되는 것이죠.
행복한 하루 되세요.
-
*2018-04-23 14:24:58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countif(범위, 조건)는 이 형식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조건은 일반적으로 " "로 묶어줍니다. 하지만 " "로 묶어줄때는 " "로 묶여진 내용과 동일할 때입니다. 이것은 약속이라서 이 형식을 외우셔야 합니다. 그런데 조건으로 수식(average)을 이용할 경우에는 " "로 묶어주면 안되기 때문에 " " 안에서 나오도록 합니다. 그러나 등호나 부등호는 " "로 묶어줘야 합니다. 그래서 기호는 " "로 묶으시고, 부등호와 뒤의 수식이 하나의 조건을 나타내는 것이라는 의미로 연결 문자 &를 이용하여 연결해주는 것입니다.
뒤에 "개"라고 지정한 것은 앞의 수식의 결과 뒤에 "개"를 붙이겠다는 의미입니다. &는 앞과 뒤 내용을 연결하여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연결 문자이기 때문에 위와 같이 사용된 것입니다. 앞의 결과 뒤에 "개"가 표시됩니다.
=COUNTIF(H5:H12,">="&AVERAGE(H5:H12))의 결과가 4이면 4개로 표시되는 것이죠.
행복한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