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블을 다 작성하고 쿼리로 넘어갈 때
동그라미 친 부분에 입력하는 순서가 어떤 기준인지 헷갈립니다..
문제 3에 나오는 자료처리 파일에 나오는 목록의 순서인 판정-학생번호-성별-신장-몸무게 ..를 보고 파악해야하는지
문제 2에 나오는 조회화면 서식에 맞게 학생번호-이름-신장-몸무게 순서대로 해야하는지..
사실 324쪽 정답에 나온 거 보면
학생-신장-몸무게 순서라서 어떤 게 기준인지 모르겠습니다.ㅠㅠ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쿼리는 보고서를 만드는 재료이며, 실제로는 출력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쿼리의 필드 순서는 어떻게 지정하던지 관계 없습니다.
다만 시나공 교재에서는 보고서 마법사에서 필드를 조금이라도 빨리 편하게 이동시키기 위해서 보고서(자료처리 파일)의 필드(목록) 순서로 지정한 것입니다.
필드 순서가 헷갈리다면 그냥 보고서에서 사용되는 필드를 회원님께서 편한 순서로 필드를 이동시키면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관리자2020-07-22 09:19:59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쿼리는 보고서를 만드는 재료이며, 실제로는 출력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쿼리의 필드 순서는 어떻게 지정하던지 관계 없습니다.
다만 시나공 교재에서는 보고서 마법사에서 필드를 조금이라도 빨리 편하게 이동시키기 위해서 보고서(자료처리 파일)의 필드(목록) 순서로 지정한 것입니다.
필드 순서가 헷갈리다면 그냥 보고서에서 사용되는 필드를 회원님께서 편한 순서로 필드를 이동시키면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관리자2020-07-23 10:15:52
안녕하세요. 길벗 수험서 운영팀입니다.
이전 문의의 답변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쿼리는 보고서를 만드는 재료일뿐입니다.
그러므로 쿼리에는 결과적으로 보고서에서 사용할 필드가 들어가 있으면 됩니다.
예를 들어 보고서에서 A, C, D, F라는 필드를 사용한다고 할 때 쿼리 작성 시 A, C, D, F 필드만 넣어도 되고, A, B, C, D, E, F, G 필드를 넣어도 됩니다.
보고서에서 사용할 필드만을 넣어 쿼리 작성 시에는 문제의 보고서 그림을 보고 어떤 필드를 넣을 지 판단합니다.
아래 그림을 예로 들면 판매일, 가수이름, 음반명, 공급단가, 판매수량, 파냄금액, 판매이윤 필드가 사용되므로 쿼리 작성 시 이 필드들를 넣으면 됩니다.
하지만 테이블에 있는 모든 필드를 다 넣어도 관계 없습니다.
그리고 보통 테이블1에는 4~5개의 필드, 테이블2에는 2~3개 필드가 있습니다.
그래서 필드가 많은 테이블1은 쿼리에 전체를 넣고, 테이블2에서는 관계를 설정한 필드를 제외하면 1, 2개 정도만 사용되므로 해당 필드만 넣는 것입니다.
쿼리 작성 시 어떤 필드를 넣어야 할지 잘 이해되지 않는다면 그냥 모든 필드를 넣으면 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
*2020-07-22 20:02:40
답변 감사합니다.
하지만 아직 의문이 해결되지 않아서 이렇게 추가질문 드립니다.
책 344쪽을 예로 들면
쿼리 작성할 때 우선 테이블 1, 2를 띄워두고 테이블 1의 음반코드와 테이블 2의 음반코드를 드래그 한다음에 (아래사진)
테이블 1의 모든 필드를 입력하라고 나와있습니다.
1.근데 보고서에는 테이블 1에 있는 음반코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 같은데 왜 테이블 1 전체를 넣는지 의문이 생깁니다..ㅠㅠ
2. 1번 질문과 마찬가지로 보고서에 작성하는 요소들을 쿼리 필드에 순서대로 넣는건데, 어디부터 어디까지 넣어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304쪽도 마찬가지로 조회화면에는 테이블 1에 있는 품목코드가 안써있는데 왜 테이블 1전체를 넣는건지 같은 맥락으로 궁금합니다.ㅠㅠ
+ 쿼리를 우선 만드는게 나중에 조회화면에도 쓰고 보고서에도 쓰기 위해서 조회하면으로 나오는 필드명에 있는 것들과 보고서에 나오는 요소들의 합집합(?)을 쿼리에 작성하는 건가요?? 그리고 조회화면과 보고서에는 있지만 TABLE1에는 없는 요소들을 TABLE2에서 가져오거나 계산식을 작성하는건가요?(제가 맞게 이해한건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