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쪽의 Sumproduct를 보면, 곱셈들의 합계라고 나와있습니다.
맨 위 [준비하세요!]에서도 각 열의 곱셈을 더한 걸로 예시가 나와있어서 그렇게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바로 밑의 [기출문제 따라잡기]에서는 이해가 안 가네요.
1. sumproduct 안에 isnumber과 find를 이용해 포인트 200, 300짜리의 주유금액을 서로 더한 것인데, 이곳에는 "곱셈"이 없지 않습니까?
그런데 어떻게 sumproduct가 쓰이는 거죠? 이건 곱셈들의 합이 아닌가요? sumif처럼 조건부 합에서도 쓰이는 건가요?
2. 이 기출에서는 sumproduct 대신 sumifs를 써도 똑같습니까?
isnumber의 결과값은 true나 false이기 때문에 문의한 수식으로 작성시 값이 0으로 표시되는 것입니다. sumproduct, isnumber의 사용법은 교재 1편 63~64쪽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참고하세요.
ISNUMBER 함수는 단순히 숫자면 TRUE, 숫자가 아니면 FALSE를 표시하는 함수로, 1을 곱하여 ‘TRUE’나 ‘FALSE’로 표시된 값을 1이나 0으로 변경하기 위해서입니다. 일반적으로 TRUE는 1, FALSE는 0으로 취급하므로 TRUE*1=1, FALSE*1=0으로 표시됩니다.
ISNUMBER(FIND("우수",L5:L24))의 결과값은 TRUE나 FALSE로 표시됩니다. 그러므로 *1을 해주어 TRUE나 FALSE를 1이나 0으로 변경해 주어야 합니다. -> 질문1의 답변
ISNUMBER(FIND("우리",$A$4:$A$23))+ISNUMBER(FIND("해피",$A$4:$A$23))의 경우
ISNUMBER(FIND("우리",$A$4:$A$23))의 결과는 TREU나 FALSE로,
ISNUMBER(FIND("해피",$A$4:$A$23))의 결과도 TRUE나 FALSE로 반환됩니다.
이를 더해주게(+)게 되면 결과는 1이나 0, 즉 TRUE+TRUE=1, TRUE+FALSE=0, FALSE+FALSE=0으로 값이 반환됩니다.
그러므로 1을 곱해줘도 곱해주지 않아도 됩니다.
이해하기가 어렵다면 ISNUMBER가 한번 사용된다면 *1을, 두번 사용된다면 *1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7-11-16 21:43:49
isnumber의 결과값은 true나 false이기 때문에 문의한 수식으로 작성시 값이 0으로 표시되는 것입니다. sumproduct, isnumber의 사용법은 교재 1편 63~64쪽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참고하세요.
ISNUMBER 함수는 단순히 숫자면 TRUE, 숫자가 아니면 FALSE를 표시하는 함수로, 1을 곱하여 ‘TRUE’나 ‘FALSE’로 표시된 값을 1이나 0으로 변경하기 위해서입니다. 일반적으로 TRUE는 1, FALSE는 0으로 취급하므로 TRUE*1=1, FALSE*1=0으로 표시됩니다.
ISNUMBER(FIND("우수",L5:L24))의 결과값은 TRUE나 FALSE로 표시됩니다. 그러므로 *1을 해주어 TRUE나 FALSE를 1이나 0으로 변경해 주어야 합니다. -> 질문1의 답변
ISNUMBER(FIND("우리",$A$4:$A$23))+ISNUMBER(FIND("해피",$A$4:$A$23))의 경우
ISNUMBER(FIND("우리",$A$4:$A$23))의 결과는 TREU나 FALSE로,
ISNUMBER(FIND("해피",$A$4:$A$23))의 결과도 TRUE나 FALSE로 반환됩니다.
이를 더해주게(+)게 되면 결과는 1이나 0, 즉 TRUE+TRUE=1, TRUE+FALSE=0, FALSE+FALSE=0으로 값이 반환됩니다.
그러므로 1을 곱해줘도 곱해주지 않아도 됩니다.
이해하기가 어렵다면 ISNUMBER가 한번 사용된다면 *1을, 두번 사용된다면 *1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