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값은 둘 다 똑같고, 함수 내용도 비슷합니다만, CHOOSE 함수 사용 시 0번째가 없기에 +1을 하는 건 어떤 기준으로 적어야 하는지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자세히 말씀드리자면, CHOOSE는 0번째가 없으니 +1을 하라는 것을 다른 문제에서 배워서 이번 문제에도 바로 밑에 쓴 함수와 같이 적었습니다(여기서 말한 다른 문제는 같은 책 56p 2340720 찾기참조함수 CHOOSE함수 유형4입니다.).
=CHOOSE(COUNTA(B3:C3)+1, "결석", "결석", "개근")
표에서 개근을 한 번 이상 해서 0이 나오지 않으나, 다른 문제에서도(56p 2340720 찾기참조함수 CHOOSE함수 유형4) 시험 점수가 0이 나오지 않아 굳이 +1을 할 필요는 없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두 문제 모두 +1을 안 해도 되긴 했습니다.
+1을 하는 문제가 있고, 그렇지 않는 문제가 있어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떤 기준으로 +1을 하는지 혹은 제가 뭔가 잘못 생각하는 부분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두 문제 모두 +1을 안 해도 표의 시험 점수나 0의 개수 0만 안 나온다면 괜찮은 문제였던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기본적으로 +1을 하지 않습니다. CHOOSE(인수1, 인수2, 인수3, 인수4, ~~) 함수에서 인수1로 지정한 값이 0인 경우가 있어 오류가 발생할 때만 +1을 해주면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4-02-05 17:29:32
안녕하세요.
기본적으로 +1을 하지 않습니다. CHOOSE(인수1, 인수2, 인수3, 인수4, ~~) 함수에서 인수1로 지정한 값이 0인 경우가 있어 오류가 발생할 때만 +1을 해주면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