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INT , CHOOSE함수 부분인데
INT는이해가 되는데
CHOOSE부분에서 왜 저렇게되는지 이해가안가요..ㅠㅠㅠ
설명부탁드릴게요..ㅠㅠㅠ
안녕하세요.
= CHOOSE( INT(D3/10)+1, “F”, “F”, “F”, “D”, “D”,“C”, “C”, “B”, “B”, “A”, “A” )
- INT(D3/10) : CHOOSE(인수, 첫 번째, 두 번째, …) 함수는 인수가 1이면 첫 번째를, 인수가 2이면 두 번째를, … 인수가 n이면 n 번째를 반환합니다. 총점(D3)을 보면 90, 79와 같이 10단위로 되어 있으므로 총점(D3)을 10으로 나누는 것입니다.
- +1을 하는 이유는 총점(D3)이 0~9일 경우 INT(D3/10)의 값이 0일 경우 CHOOSE 함수의 첫번째 인수의 값을 넣기 위해 +1을 하는 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1-09-13 12:12:49
안녕하세요.
= CHOOSE( INT(D3/10)+1, “F”, “F”, “F”, “D”, “D”,“C”, “C”, “B”, “B”, “A”, “A” )
- INT(D3/10) : CHOOSE(인수, 첫 번째, 두 번째, …) 함수는 인수가 1이면 첫 번째를, 인수가 2이면 두 번째를, … 인수가 n이면 n 번째를 반환합니다. 총점(D3)을 보면 90, 79와 같이 10단위로 되어 있으므로 총점(D3)을 10으로 나누는 것입니다.
- +1을 하는 이유는 총점(D3)이 0~9일 경우 INT(D3/10)의 값이 0일 경우 CHOOSE 함수의 첫번째 인수의 값을 넣기 위해 +1을 하는 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