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가 실전 모의고사 계산작업 B형을 풀다가 5번문제 1항에서 성별은 주민번호 앞에서 여덟번째 숫자가 짝수이면 여자 홀수이면 남자 라는
문제인데 =IF(MID(B26,8,1)="1","남자",IF(MID(B26,8,1)="3","남자","여자")) 이런식으로 풀고 정답이 나왔길래 수식의 이해를 봤더니 MOD를 추가한
=IF(MOD(MID(B26,8,1),2)=1,"남자","여자") 가 나오네요. MOD는 나머지를 구하는 함수인데 제가 잘 이해가 안가네요..그리고
문제가 총 2항 있는데
IF,DATE,MID,MOD,함수와 &연산자 사용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제가 풀던대로 풀면 사용하지 않는 함수가 나오네요. 실제 실기시험에서 답은 맞게
나오는데 과정이 틀리거나 사용하라고 한 함수를 안쓰면 틀린건가요?
그리고 그리고 위에 MOD를 사용한 방식이 제가 잘 이해가 안가서 설명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문제에 제시된 함수 중 알맞은 함수를 골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시된 함수 안에서 결과를 맞게 산출하면 감점되지 않습니다.
다만 문제에 제시된 함수를 반드시 사용하라는 조건이 있는 경우에는
제시된 함수를 모두 사용해서 결과를 산출해야 합니다.
MOD 함수는 나머지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MOD(MID(B26, 8, 1), 2) = 1
의 의미는
주민등록번호 8번째 자리 - MID(B26, 8, 1)
를 추출하여 그 값을 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합니다.
주민등록번호로 추출될 수 있는 값은 1, 2, 3, 4이며
1, 2, 3, 4를 각각 2로 나눈 나머지를 확인하면
MOD(1, 2) = 1
MOD(2, 2) = 0
MOD(3, 2) = 1
MOD(4, 2) = 0
입니다.
그러므로 나머지가 1인 경우는 남자, 0인 경우는 여자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1-07-09 09:28:23
안녕하세요.
문제에 제시된 함수 중 알맞은 함수를 골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시된 함수 안에서 결과를 맞게 산출하면 감점되지 않습니다.
다만 문제에 제시된 함수를 반드시 사용하라는 조건이 있는 경우에는
제시된 함수를 모두 사용해서 결과를 산출해야 합니다.
MOD 함수는 나머지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MOD(MID(B26, 8, 1), 2) = 1
의 의미는
주민등록번호 8번째 자리 - MID(B26, 8, 1)
를 추출하여 그 값을 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합니다.
주민등록번호로 추출될 수 있는 값은 1, 2, 3, 4이며
1, 2, 3, 4를 각각 2로 나눈 나머지를 확인하면
MOD(1, 2) = 1
MOD(2, 2) = 0
MOD(3, 2) = 1
MOD(4, 2) = 0
입니다.
그러므로 나머지가 1인 경우는 남자, 0인 경우는 여자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