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부록
도서
2020 시나공 컴퓨터활용능력 2급 실기 [기본서]
페이지
0
조회수
325
작성일
2021-01-26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부록 91쪽1번)

hlookup 함수를 (찾을값, 범위, 행, 논리값) 을 사용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hlookup 에서 가장 첫번째인 찾을값 부분이 왜 b3이 되는 것인가요?

hlookup(b3,$b$10:$d$11,2) 여기에서 왜 b3이 찾을 값이 되는 거죠?

 

5번)

e26 셀에 대한 수식을 작성할 때, 2보다 크면 이라는 말에서 숫자 2에 왜 "" 이런 절대 참조가 붙는건가요?

그리고,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이 언제인지 이해가 안됩니다. 수식을 세울 때 마다 & 연산자 사용법이 달라지는 것 같아 헷갈립니다.

 

부록 92쪽 1번)

1번 질문에서 왜 match 함수를 사용해야 하는 것인가요? (질문을 읽고, match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4번)

vlookup 함수 식 작성할 때 = vlookup(c27 <- 왜 c27인거죠?

그리고 논리값 쓸때, false (=정확한값) 를 써도 되는 거 아닌가요?

 

부록 94쪽 1번)

토요일과 같이 문자열 전체를 표시하게 지정 이라는 말이 무슨 의미인가요..?

 

5번)

int 함수는 실수를 정수로 변경하는 함수인데 이 문제에서는 int 함수가 왜 쓰이는 것인가요? 그리고 왜 int(b35/c35)를 하는 것이죠?

 

부록 99쪽 3번)

문제에서 "6월 주문량(c16) 이 5월 주문량(b16) 보다 30 이상 크면" 이라는 말이 왜 c16-b16 인가요? 왜 빼기를 해야하는 거죠?



 

 

 

답변
2021-01-27 11:07:14

안녕하세요.

 

91쪽

1) 근무년수에 따른 근속수당을 구하는 것으로 찾을 값은 근무년수가 있는 B3 셀을 지정하고 범위는 근무년수가 첫번째 행이 되도록 b10:d11로 지정하면 됩니다.

2) MID 함수는 텍스트 함수로 결과값을 텍스트로 반환합니다. 그러므로 이 함수의 결과값과 비교하는 2도 "2"와 같이 텍스트 형식으로 만들어 비교해야 합니다.

   &는 텍스트와 텍스트를 연결하는 연산자입니다. 이 문제의 경우 두 함수의 결과값을 연결해서 나란히 표시하겠다는 의미입니다.

 

부록 94쪽 1번)

토, 일, 월, 화 이런식이 아닌 토요일, 일요일, 월요일, 화요일 이런식으로 문자열 전체를 표시하라는 의미입니다.

 

5번)

int 함수는 실수를 정수로 변경하는 함수인데 이 문제에서는 int 함수가 왜 쓰이는 것인가요? 그리고 왜 int(b35/c35)를 하는 것이죠?

->G24/H24를 계산하면 결과는 31.6667입니다. 이것을 31과 같이 정수로만 표시하가 위해 INT 함수를 사용한 것입니다.

 

부록 99쪽 3번)

문제에서 "6월 주문량(c16) 이 5월 주문량(b16) 보다 30 이상 크면" 이라는 말이 왜 c16-b16 인가요? 왜 빼기를 해야하는 거죠?

-> 예를 들어 6월 주문량이 100, 5월 주문량이 50이라고 할때 6월주문량-5월주문량=50, 50은 6월주문량이 5월주문량보다 더 많은 양이 됩니다. 그러므로 6월주문량-5월주문량이 30보다 큰지를 비교한 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
    2021-01-27 11:07:14

    안녕하세요.

     

    91쪽

    1) 근무년수에 따른 근속수당을 구하는 것으로 찾을 값은 근무년수가 있는 B3 셀을 지정하고 범위는 근무년수가 첫번째 행이 되도록 b10:d11로 지정하면 됩니다.

    2) MID 함수는 텍스트 함수로 결과값을 텍스트로 반환합니다. 그러므로 이 함수의 결과값과 비교하는 2도 "2"와 같이 텍스트 형식으로 만들어 비교해야 합니다.

       &는 텍스트와 텍스트를 연결하는 연산자입니다. 이 문제의 경우 두 함수의 결과값을 연결해서 나란히 표시하겠다는 의미입니다.

     

    부록 94쪽 1번)

    토, 일, 월, 화 이런식이 아닌 토요일, 일요일, 월요일, 화요일 이런식으로 문자열 전체를 표시하라는 의미입니다.

     

    5번)

    int 함수는 실수를 정수로 변경하는 함수인데 이 문제에서는 int 함수가 왜 쓰이는 것인가요? 그리고 왜 int(b35/c35)를 하는 것이죠?

    ->G24/H24를 계산하면 결과는 31.6667입니다. 이것을 31과 같이 정수로만 표시하가 위해 INT 함수를 사용한 것입니다.

     

    부록 99쪽 3번)

    문제에서 "6월 주문량(c16) 이 5월 주문량(b16) 보다 30 이상 크면" 이라는 말이 왜 c16-b16 인가요? 왜 빼기를 해야하는 거죠?

    -> 예를 들어 6월 주문량이 100, 5월 주문량이 50이라고 할때 6월주문량-5월주문량=50, 50은 6월주문량이 5월주문량보다 더 많은 양이 됩니다. 그러므로 6월주문량-5월주문량이 30보다 큰지를 비교한 것입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
    2021-01-28 10:12:01

    안녕하세요.

     

    부록 92쪽 1번)

    1번 질문에서 왜 match 함수를 사용해야 하는 것인가요? (질문을 읽고, match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 인사점수가 <등급표>의 종료구간의 어디에 해당하는지 찾아 그 행위치를 이용해 <등급표>의 등급열에서 값을 가져와야 합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행이나 하나의 열을 대상으로 값을 찾아 위치 값을 반환할 때는 match를

        행과 열을 함께 사용해서 위치 값을 반환해야 할 때는 index를 사용합니다.

     

    4번)

    vlookup 함수 식 작성할 때 = vlookup(c27 <- 왜 c27인거죠?

    그리고 논리값 쓸때, false (=정확한값) 를 써도 되는 거 아닌가요?

    ->  <상여금 지급 기준> 표의 '근무년수'를 기준으로 그에 맞는 상여금을 산출하기 위해서

    Vlookup의 찾는 값을 근무년수, 즉 C27로 지정한 것입니다.

    찾는 값과 범위의 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False를 사용합니다. 보통 문자인 경우 사용하죠.

    하지만 이 문제와 같이 찾는 값의 범위의 영역에 속하는 경우에는 생략하거나 True를 사용합니다.

    근무년수가 3년인 경우 <상여금 지급 기준> 표의 근무년수에 없으므로 False를 사용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생략하거나 True를 사용하면 2~5 사이로 인식해서 값이 산출되는 것이구요.

     

    부록 95쪽 5번)

    int 함수는 실수를 정수로 변경하는 함수인데 이 문제에서는 int 함수가 왜 쓰이는 것인가요? 그리고 왜 int(b35/c35)를 하는 것이죠?

    -> G24/H24를 계산하면 결과는 31.6667입니다. 이것을 31과 같이 정수로만 표시하가 위해 INT 함수를 사용한 것입니다

    -> 이 문제는 몫과 나머지를 구해 몫(나머지) 와 같이 표시한 것입니다.

        380을 12로 나눴을 때 몫은 31이고 나머지는 8입니다.

       몫은 =INT(380/12) 를 수행하면 31.6666 ... 인데 이중 몫을 정수로 산출하여 31이 산출되는 것이고

       나머지는 =MOD(380, 12)를 수행하여 8을 산출하게 되는 것입니다.

       몫을 구할 때 INT, 나머지를 구할 때 MOD 함수를 사용한다고 기억해 두세요.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
    2021-01-27 13:50:41

    부록 92쪽 1번)

    1번 질문에서 왜 match 함수를 사용해야 하는 것인가요? (질문을 읽고, match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4번)

    vlookup 함수 식 작성할 때 = vlookup(c27 <- 왜 c27인거죠?

    그리고 논리값 쓸때, false (=정확한값) 를 써도 되는 거 아닌가요?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이 빠진 것 같아 다시 질문 드립니다.! 

     

     

    부록 95쪽 5번)

    int 함수는 실수를 정수로 변경하는 함수인데 이 문제에서는 int 함수가 왜 쓰이는 것인가요? 그리고 왜 int(b35/c35)를 하는 것이죠?

    ->G24/H24를 계산하면 결과는 31.6667입니다. 이것을 31과 같이 정수로만 표시하가 위해 INT 함수를 사용한 것입니다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 이해가 안됩니다.  5번 문제랑 g24/h24가 대체 무슨 연관이 있는건가요?

    질문에 대한 답변 다시 부탁드립니다.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