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4번 문제에서 index 함수는 왜 사용해야 하는 것인지, 어떻게, 어떠한 경우에 사용해야 하는 것인지를 알고싶습니다.
-> (index 함수를 부록의 함수 사전에서 설명을 읽어봐도 이해가 되지 않음)
2. 4번 문제에서 hlookup 함수를 왜 2번이나 사용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표4]의
택배 요금표[G16:J19]와 지역번호표[G22:J23]를 이용하여 인천에서 제주까지의 택배요금[J26]을 계산하시오. (8점)
=INDEX( G16:J19, HLOOKUP(H26, G22:J23, 2, FALSE), HLOOKUP(I26, G22:J23, 2, FALSE)
INDEX(범위, 행 위치, 열 위치)
INDEX 함수는 범위에서 행 위치와 열 위치로 지정된 곳의 값을 표시합니다.
범위는 택배 요금표이고 -> G16:J19
인천에서 제주까지의 요금이므로
행 위치는 지역 번호표에서 인천이 있는 위치값 -> HLOOKUP(H26, G22:J23, 2, FALSE)
열 위치는 지역 번호표에서 제주가 있는 위치값 -> HLOOKUP(I26, G22:J23, 2, FALSE)
을 이용해 적용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
관리자2021-01-25 09:35:14
안녕하세요.
[표4]의
택배 요금표[G16:J19]와 지역번호표[G22:J23]를 이용하여 인천에서 제주까지의 택배요금[J26]을 계산하시오. (8점)
=INDEX( G16:J19, HLOOKUP(H26, G22:J23, 2, FALSE), HLOOKUP(I26, G22:J23, 2, FALSE)
INDEX(범위, 행 위치, 열 위치)
INDEX 함수는 범위에서 행 위치와 열 위치로 지정된 곳의 값을 표시합니다.
범위는 택배 요금표이고 -> G16:J19
인천에서 제주까지의 요금이므로
행 위치는 지역 번호표에서 인천이 있는 위치값 -> HLOOKUP(H26, G22:J23, 2, FALSE)
열 위치는 지역 번호표에서 제주가 있는 위치값 -> HLOOKUP(I26, G22:J23, 2, FALSE)
을 이용해 적용하면 됩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