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계산작업 RANK.EQ함수를 쓸때에 인수,범위,옵션을 쓰는데, 17년 1회 D형의 3회 계산작업에서는 범위잡은 뒤에 1을 써주지 않았는데 왜 실전모의고사 J형 계산작업 3번에서는 범위잡은뒤에 1을 써준것인가요?? ② 또 실전모의고사 H형 계산작업 5번에서 왜 FALSE를 써주면 안되는건가요?? INDEX함수 관련(360p)해서 여쭤봤었는데 행,열을 셀때 병합되어 있는 셀도 있고 셀이 나뉘어져 있는 셀도 있는데 그거 때문에 많이 헷깔려서 여쭤봤었는데 그렇게 되면 행,열을 어떻게 세야 하나요?? ③ 또 306p 계산작업 1번문제에서 F, F, F, D, D, C, C, B, B, A, A를 어떤방식으로 쓴것인가요?? 이 수식자체를 이해못하겠어요ㅠ ④ 또 360p에서 계산작업 3번문제에서 교재에 써있는 설명은 더 헷깔린것 같고..수식을 아예 이해를 못하겠어요..(저는 그냥 306p랑 360p랑 같은 부분을 모르는것 같아요.. 한번씩 처음부터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⑤ 21년 공개 A형 계산작업문제 2번문제에서 AVERAGE 함수 쓰고 HLOOKUP함수에 대해 수식 쓸때 범위잡고 그 다음에 평균에 맞는 옵션을 골라야 하는데 그게 왜 4가 아니고 3인건지 잘 모르겠어요.. G3셀과 H3셀의 평균을 구하면 87.5점정도 나오니까 80점이상 90점미만인 4번째 아닌가요?? 그게 아니라면 혹시.. 어딜가도 3이 나오는건가요?? "학점을 구해야 하는거니까 가로로 오른쪽으로 가서 아래로 "3번"가야 하는 거니까 3이 나오는건가요?? ⑥ 또 같은 시트 3번문제에서 DAVERAGE함수 쓸때 전체범위잡고나서 평점을 잡을때 평점범위를 잡지 않고 왜 "평점"이라는 셀 하나를 잡는건가요?? 범위를 잡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① 계산작업 RANK.EQ함수를 쓸때에 인수,범위,옵션을 쓰는데, 17년 1회 D형의 3회 계산작업에서는 범위잡은 뒤에 1을 써주지 않았는데 왜 실전모의고사 J형 계산작업 3번에서는 범위잡은뒤에 1을 써준것인가요??
<- 17년 1회는 옵션을 생략한 것입니다. 옵션을 생략한 경우에는 내림차순을 기준으로 순위를 부여합니다. J형의 경우는 문제에서 '순위는 반품수량이 가장 적은 제품이 1위'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 말은 순위를 오름차순을 기준으로 순위를 구하라는 의미로 옵션을 1로 지정한 것입니다. 옵션을 1로 지정하면 오름차순, 즉 가장 작은 값에 1위를 부여합니다.
② 또 실전모의고사 H형 계산작업 5번에서 왜 FALSE를 써주면 안되는건가요??
<- FALSE를 지정하면 정확히 일치하는 값만을 찾습니다. 예를들어 찾을 값이 4일 경우 등급표의 등급에 보면 4와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습니다. 이때 FALSE를 지정하면 오류가 표시되지만 생략하거나 TRUE를 지정하면 4보다 크지 않으면서 가장 근접한 값 1을 찾아 평가등급 A를 반환합니다.
INDEX함수 관련(360p)해서 여쭤봤었는데 행,열을 셀때 병합되어 있는 셀도 있고 셀이 나뉘어져 있는 셀도 있는데 그거 때문에 많이 헷깔려서 여쭤봤었는데 그렇게 되면 행,열을 어떻게 세야 하나요??
<- 병합된 셀은 병합이 안됐을 떄의 행수와 열수로 계산하면 됩니다. 즉 두개의 행이 하나로 병합됐어도 두개의 행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③ 또 306p 계산작업 1번문제에서 F, F, F, D, D, C, C, B, B, A, A를 어떤방식으로 쓴것인가요?? 이 수식자체를 이해못하겠어요ㅠ
④ 또 360p에서 계산작업 3번문제에서 교재에 써있는 설명은 더 헷깔린것 같고..수식을 아예 이해를 못하겠어요..(저는 그냥 306p랑 360p랑 같은 부분을 모르는것 같아요.. 한번씩 처음부터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수식이 이해가 안될때는 값을 직접 입력해서 결과를 하나하나 생각해 보면 됩니다. 306쪽에 보면 총점에 따라 평점이 어떻게 표시되는지가 표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그 표를 이해한 후 다시 수식을 보시면 이해됩니다. 그래도 이해가 안되면 어느 부분이 어떻게 이해가 안되는지 자세히 질문해 주세요. 360쪽도 마찬가지입니다.
= CHOOSE( INT(D3/10)+1, “F”, “F”, “F”, “D”, “D”, “C”, “C”, “B”, “B”, “A”, “A” )
총점이 0~9 10~19 20~29 30~39 40~49 50~59 60~69 70~79 80~89 90~99 100
+1을 하는 이유는 총점이 0~9일 경우는 INT(D3/10)의 값이 0이 나옵니다. 이떄 CHOOSE 함수의 첫번쨰 항목을 표시하기 위해 +1을 해주는 것입니다.
⑤ 21년 공개 A형 계산작업문제 2번문제에서 AVERAGE 함수 쓰고 HLOOKUP함수에 대해 수식 쓸때 범위잡고 그 다음에 평균에 맞는 옵션을 골라야 하는데 그게 왜 4가 아니고 3인건지 잘 모르겠어요.. G3셀과 H3셀의 평균을 구하면 87.5점정도 나오니까 80점이상 90점미만인 4번째 아닌가요?? 그게 아니라면 혹시.. 어딜가도 3이 나오는건가요?? "학점을 구해야 하는거니까 가로로 오른쪽으로 가서 아래로 "3번"가야 하는 거니까 3이 나오는건가요??
<- 아래 학점기준표에서 학점은 3번째 행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HLOOKUP 함수에서 행 번호를 3으로 지정한 것입니다. HLOOKUP 함수는 범위에서 결과로 표시될 행 번호를 지정하고, VLOOKUP 함수는 열 번호를 지정합니다.
⑥ 또 같은 시트 3번문제에서 DAVERAGE함수 쓸때 전체범위잡고나서 평점을 잡을때 평점범위를 잡지 않고 왜 "평점"이라는 셀 하나를 잡는건가요?? 범위를 잡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 DAVERAGE(범위, 열 번호, 조건) 함수에서 열 번호는 범위에서 결과로 구하고자 하는 값이 있는 열 번호를 지정하거나 열 번호 대신 필드명을 지정해도 됩니다. "평점"은 결과로 평점을 구해야 하므로 열 번호 대신에 해당 필드명을 직접 입력한 것입니다.
전체적으로 함수의 사용 형식을 혼동하시는듯 합니다. 계산작업을 풀때 혼동되는 함수가 있다면 부록 함수사전에서 해당 함수를 찾아 먼저 해당 함수의 사용 형식을 숙지하신 후 문제를 푸시기 바랍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1-01-15 10:25:56
안녕하세요.
① 계산작업 RANK.EQ함수를 쓸때에 인수,범위,옵션을 쓰는데, 17년 1회 D형의 3회 계산작업에서는 범위잡은 뒤에 1을 써주지 않았는데 왜 실전모의고사 J형 계산작업 3번에서는 범위잡은뒤에 1을 써준것인가요??
<- 17년 1회는 옵션을 생략한 것입니다. 옵션을 생략한 경우에는 내림차순을 기준으로 순위를 부여합니다. J형의 경우는 문제에서 '순위는 반품수량이 가장 적은 제품이 1위'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 말은 순위를 오름차순을 기준으로 순위를 구하라는 의미로 옵션을 1로 지정한 것입니다. 옵션을 1로 지정하면 오름차순, 즉 가장 작은 값에 1위를 부여합니다.
② 또 실전모의고사 H형 계산작업 5번에서 왜 FALSE를 써주면 안되는건가요??
<- FALSE를 지정하면 정확히 일치하는 값만을 찾습니다. 예를들어 찾을 값이 4일 경우 등급표의 등급에 보면 4와 정확히 일치하는 값이 없습니다. 이때 FALSE를 지정하면 오류가 표시되지만 생략하거나 TRUE를 지정하면 4보다 크지 않으면서 가장 근접한 값 1을 찾아 평가등급 A를 반환합니다.
INDEX함수 관련(360p)해서 여쭤봤었는데 행,열을 셀때 병합되어 있는 셀도 있고 셀이 나뉘어져 있는 셀도 있는데 그거 때문에 많이 헷깔려서 여쭤봤었는데 그렇게 되면 행,열을 어떻게 세야 하나요??
<- 병합된 셀은 병합이 안됐을 떄의 행수와 열수로 계산하면 됩니다. 즉 두개의 행이 하나로 병합됐어도 두개의 행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③ 또 306p 계산작업 1번문제에서 F, F, F, D, D, C, C, B, B, A, A를 어떤방식으로 쓴것인가요?? 이 수식자체를 이해못하겠어요ㅠ
④ 또 360p에서 계산작업 3번문제에서 교재에 써있는 설명은 더 헷깔린것 같고..수식을 아예 이해를 못하겠어요..(저는 그냥 306p랑 360p랑 같은 부분을 모르는것 같아요.. 한번씩 처음부터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수식이 이해가 안될때는 값을 직접 입력해서 결과를 하나하나 생각해 보면 됩니다. 306쪽에 보면 총점에 따라 평점이 어떻게 표시되는지가 표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그 표를 이해한 후 다시 수식을 보시면 이해됩니다. 그래도 이해가 안되면 어느 부분이 어떻게 이해가 안되는지 자세히 질문해 주세요. 360쪽도 마찬가지입니다.
= CHOOSE( INT(D3/10)+1, “F”, “F”, “F”, “D”, “D”, “C”, “C”, “B”, “B”, “A”, “A” )
총점이 0~9 10~19 20~29 30~39 40~49 50~59 60~69 70~79 80~89 90~99 100
+1을 하는 이유는 총점이 0~9일 경우는 INT(D3/10)의 값이 0이 나옵니다. 이떄 CHOOSE 함수의 첫번쨰 항목을 표시하기 위해 +1을 해주는 것입니다.
⑤ 21년 공개 A형 계산작업문제 2번문제에서 AVERAGE 함수 쓰고 HLOOKUP함수에 대해 수식 쓸때 범위잡고 그 다음에 평균에 맞는 옵션을 골라야 하는데 그게 왜 4가 아니고 3인건지 잘 모르겠어요.. G3셀과 H3셀의 평균을 구하면 87.5점정도 나오니까 80점이상 90점미만인 4번째 아닌가요?? 그게 아니라면 혹시.. 어딜가도 3이 나오는건가요?? "학점을 구해야 하는거니까 가로로 오른쪽으로 가서 아래로 "3번"가야 하는 거니까 3이 나오는건가요??
<- 아래 학점기준표에서 학점은 3번째 행에 있습니다. 그러므로 HLOOKUP 함수에서 행 번호를 3으로 지정한 것입니다. HLOOKUP 함수는 범위에서 결과로 표시될 행 번호를 지정하고, VLOOKUP 함수는 열 번호를 지정합니다.
⑥ 또 같은 시트 3번문제에서 DAVERAGE함수 쓸때 전체범위잡고나서 평점을 잡을때 평점범위를 잡지 않고 왜 "평점"이라는 셀 하나를 잡는건가요?? 범위를 잡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 DAVERAGE(범위, 열 번호, 조건) 함수에서 열 번호는 범위에서 결과로 구하고자 하는 값이 있는 열 번호를 지정하거나 열 번호 대신 필드명을 지정해도 됩니다. "평점"은 결과로 평점을 구해야 하므로 열 번호 대신에 해당 필드명을 직접 입력한 것입니다.
전체적으로 함수의 사용 형식을 혼동하시는듯 합니다. 계산작업을 풀때 혼동되는 함수가 있다면 부록 함수사전에서 해당 함수를 찾아 먼저 해당 함수의 사용 형식을 숙지하신 후 문제를 푸시기 바랍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1-01-19 10:56:22
안녕하세요.
① 앞서 설명해주신것(306p, 360p)에서 설명은 이해가 다 되었는데..그러한 문제를 보고 어떻게 그렇게 세어낼 수 있는건지 궁금하고(혹시 그걸 암산으로 다 세어내야하는건가요..?) 그걸
항상 셀때는 0~9,10~19.......이렇게 세기 시작하는건가요??
<- 암산으로 하지는 않습니다. 이런 문제는 한번에 수식을 완성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대략 수식을 작성한후 나오는 결과를 보고 그때그때 수정을 하면서 수식을 완성하는 것입니다. 또한 수식 작성은 많이 하다보면 요령이 생깁니다.
② 그리고 21년 공개 A형 2번문제에서 학점이 왜, 어떻게 세어서 3번째 행인지 궁금해요.. 가로로는 세지 못하고 세로로 센다해도 평균이 첫번째이고 학점이 "2번째"인데.. 어째서 3번째 행이 될 수 있는거죠??
<- 병합 여부에 상관 없이 행 수를 세면 됩니다.
③ 그리고 어떠할때 AVERAGE함수에서 절대번지를 넣어야 하는지 많이 헷깔리는데 어떨때 넣어야 하나요??
-> 하나의 셀에 수식을 입력한 후 채우기 핸들로 드래그하여 나머지 셀에도 값을 구하려고 할때, 항상 고정적으로 들어가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절대참조를 지정해야 합니다. AVERAGE 함수도 마찬가지 입니다.
④ 또 17년 상시 계산작업 문제 4번에서 문제에서 고르라는 것은 지역이 안산인 "동호회원수"인데 DCOUNTA함수에서 전체범위를 잡고 4(=가입년도)를 갑자기 왜 넣는지 모르겠어요.. 차라리 회원명=(1)을 넣는게 맞지 않나요??
<- '지역인 안신인' 이것은 조건입니다. 조건을 지정할 때 필드명과 조건만을 정확히 지정해주면 되고, 열 번호는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 중 개수를 구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4 즉 가입연도가 아닌 다른 필드를 지정해도 결과가 동일하므로 1, 2, 3을 지정해도 됩니다.
⑤ 실전모의고사 F형 계산작업 5번 문제에서 다른문제에서 SUMIF를 썼을때는 범위를 잡고 들어갈 조건을 쓸때 그 범위에서 절대번지를 안줬었는데 왜 여기서는 합격여부라는 범위를 잡고 왜 절대번지를 넣은거에요??
아래 수식을 C36 셀에 입력한 후 채우기 핸들을 오른쪽으로 드래그하여 [D36] 셀에도 값을 구해야 합니다.
[C36] 셀 : =TRUNC(SUMIF($E$27:$E$35,"합격",C27:C35)/COUNTIF($E$27:$E$35,"합격")) <- 합격한 사람 중 필기 시험(C27:C35)의 평균
[D36] 셀 : =TRUNC(SUMIF($E$27:$E$35,"합격",D27:D35)/COUNTIF($E$27:$E$35,"합격")) <- 합격한 사람 중 실기 시험(D27:D35)의 평균
두 경우 조건을 적용해야 하는 범위는 동일하게 들어가야 하므로 절대참조로 지정해야 하고, 평균을 구하는 범위를 필기 시험에서 실기 시험으로 변경되어야 하므로 상대참조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21-01-18 22:17:26
① 앞서 설명해주신것(306p, 360p)에서 설명은 이해가 다 되었는데..그러한 문제를 보고 어떻게 그렇게 세어낼 수 있는건지 궁금하고(혹시 그걸 암산으로 다 세어내야하는건가요..?) 그걸 항상 셀때는 0~9,10~19.......이렇게 세기 시작하는건가요?? ② 그리고 21년 공개 A형 2번문제에서 학점이 왜, 어떻게 세어서 3번째 행인지 궁금해요.. 가로로는 세지 못하고 세로로 센다해도 평균이 첫번째이고 학점이 "2번째"인데.. 어째서 3번째 행이 될 수 있는거죠?? ③ 그리고 어떠할때 AVERAGE함수에서 절대번지를 넣어야 하는지 많이 헷깔리는데 어떨때 넣어야 하나요?? ④ 또 17년 상시 계산작업 문제 4번에서 문제에서 고르라는 것은 지역이 안산인 "동호회원수"인데 DCOUNTA함수에서 전체범위를 잡고 4(=가입년도)를 갑자기 왜 넣는지 모르겠어요.. 차라리 회원명=(1)을 넣는게 맞지 않나요?? ⑤ 실전모의고사 F형 계산작업 5번 문제에서 다른문제에서 SUMIF를 썼을때는 범위를 잡고 들어갈 조건을 쓸때 그 범위에서 절대번지를 안줬었는데 왜 여기서는 합격여부라는 범위를 잡고 왜 절대번지를 넣은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