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함수값이 왜 저렇게 되는지 이해가 안되요
도서
2020 시나공 컴퓨터활용능력 2급 실기 [기본서]
페이지
98
조회수
227
작성일
2020-09-11
작성자
탈퇴*원

밑에 설명을 읽어도 값이 왜 저렇게 되는지 이해가 잘안되요..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ㅠㅠ

답변
2020-09-15 17:08:0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관건은 TRUE와 "1" 입니다.

논리결과 TRUE/FALSE와 쌍따옴표로 묶인 숫자 값이 셀에 입력된 것을 참조할 때와 직접 수식에 입력했을 때에 차이가 난다는 것을 염두에 두세요.

셀 참조시에는 숫자로 취급되지 않으며,

직접 입력시에는 숫자 취급되어서 count에 산입됩니다.

 

[2]

counta(, , "", 3)는 몇 일까요.

답은 4입니다. counta 직접 입력 시 무엇을 써도 카운트에 산입되므로 입력된 데이터의 개수만 써주시면 됩니다.

 

[3]

쌍따옴표로 묶인 숫자를 셀이 아닌 함수의 인수로 직접 입력하는 경우 숫자로 자동변환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의 count가 그렇고, max 또한 그렇습니다.

논리값 TRUE = 1, FALSE = 0 으로 취급되죠.

그럼 3번 보기를 일반적인 형태로 바꿔보자면

max( 1, 10, 8, 3 ) 이 됩니다.

결과는 10이겠죠.

 

[4]

ROUND 함수는 숫자를 지정한 자릿수로 반올림하여 표시하는 함수입니다. 가령 ‘ROUND(35.6768, 2)’라면 35.6768을 소수 이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 이하 둘째 자리까지 표시하므로 35.68이 됩니다.

-2라면? 해설과 같이 나오겠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관리자
    2020-09-15 17:08:02

    안녕하세요 길벗수험서 운영팀입니다.

     

    [1]

    관건은 TRUE와 "1" 입니다.

    논리결과 TRUE/FALSE와 쌍따옴표로 묶인 숫자 값이 셀에 입력된 것을 참조할 때와 직접 수식에 입력했을 때에 차이가 난다는 것을 염두에 두세요.

    셀 참조시에는 숫자로 취급되지 않으며,

    직접 입력시에는 숫자 취급되어서 count에 산입됩니다.

     

    [2]

    counta(, , "", 3)는 몇 일까요.

    답은 4입니다. counta 직접 입력 시 무엇을 써도 카운트에 산입되므로 입력된 데이터의 개수만 써주시면 됩니다.

     

    [3]

    쌍따옴표로 묶인 숫자를 셀이 아닌 함수의 인수로 직접 입력하는 경우 숫자로 자동변환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의 count가 그렇고, max 또한 그렇습니다.

    논리값 TRUE = 1, FALSE = 0 으로 취급되죠.

    그럼 3번 보기를 일반적인 형태로 바꿔보자면

    max( 1, 10, 8, 3 ) 이 됩니다.

    결과는 10이겠죠.

     

    [4]

    ROUND 함수는 숫자를 지정한 자릿수로 반올림하여 표시하는 함수입니다. 가령 ‘ROUND(35.6768, 2)’라면 35.6768을 소수 이하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 이하 둘째 자리까지 표시하므로 35.68이 됩니다.

    -2라면? 해설과 같이 나오겠죠.

     

    행복한 하루되세요 :)

· 5MB 이하의 zip, 문서, 이미지 파일만 가능합니다.
· 폭언, 욕설, 비방 등은 관리자에 의해 경고없이 삭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