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을 반올림없이 정수로 표시하려면 사용해야 할 함수가 INT로 사용하면 틀린 답이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INT는 소숫점 이하를 제거해서 정수로 만드는거고 TRUNC는 지정한 자릿수 미만의 수치를 버리는거니까 정수를 구하려면 INT를 쓰는게 더 적합한거 아닌가요..?
만일 시험장에서 문제에 제시되는 함수에 INT와 TRUNC 모두 제시되었을 경우 현재와 같이 정답지에는 TRUNC인데 INT를 썻을 경우 답이 일치해도 틀린 답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TRUNC는 숫자의 소수 부분을 버리고, INT는 해당 숫자보다 크지 않은 정수로 변환합니다. INT와 TRUNC는 음수를 사용할 때만 다른 결과를 얻게 되는데요. 문제에서 평균 점수는 반올림 없이 정수로 표시하라고 했으므로 TRUNC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참고로 함수 사전에는 함수가 제시되어 있지 않은데요. 실제 시험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함수가 제시되고 반드시 그 함수만을 이용해서 작성해야 합니다. 함수 사전에 나와있는 기출따라잡기 문제는 모두 실제 시험에 나왔던 문제이고, 수식도 제시된 함수를 이용해서 작성한 것이니 왜 이 함수를 사용했는지 보다는 수식을 정확히 이해하는 쪽으로 공부하세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0-07-20 09:18:22
안녕하세요.
TRUNC는 숫자의 소수 부분을 버리고, INT는 해당 숫자보다 크지 않은 정수로 변환합니다. INT와 TRUNC는 음수를 사용할 때만 다른 결과를 얻게 되는데요. 문제에서 평균 점수는 반올림 없이 정수로 표시하라고 했으므로 TRUNC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참고로 함수 사전에는 함수가 제시되어 있지 않은데요. 실제 시험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함수가 제시되고 반드시 그 함수만을 이용해서 작성해야 합니다. 함수 사전에 나와있는 기출따라잡기 문제는 모두 실제 시험에 나왔던 문제이고, 수식도 제시된 함수를 이용해서 작성한 것이니 왜 이 함수를 사용했는지 보다는 수식을 정확히 이해하는 쪽으로 공부하세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