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서 301쪽 기본 모의고사 5회에서
계산작업 문제 1번 답이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ㅠㅠ
=CHOOSE(INT(D3/10)+1,"F","F","F","D","D","C","C","B","B","A","A")
책에 자세하게 해설이 안나와있어서 질문올립니다
안녕하세요.
CHOOSE(인수, 첫 번째, 두 번째, …) 함수는 인수가 1이면 첫 번째를, 인수가 2이면 두 번째를, … 인수가 n이면 n번째를 반환합니다.
=CHOOSE(INT(D3/10)+1,"F","F","F","D","D","C","C","B","B","A","A")
인수 1 2 3 4 5 6 7 8 9 10 11
- 인수가 1이면 F, 2이면 F, 3이면 F, 4이면 D ~~를 넣습니다.
INT(D3/10)+1에서 +1을 하는 이유는 INT(D3/10)의 값이 0일때 F를 넣기 위해 +1을 해준 것입니다. D3 셀의 값이 0~9일때 10으로 나누면 0이고 +1을 해주면 INT(D3/10)+1의 값이 1이 되서 F를 넣게 되는 것입니다.
결과적을 D3셀의 값이 0~9 : F, 10~19 : F, 20~29 : F, 30~39 : D, 40~49 : D, 50~59 : C, 60~69 :C, 70~79 : B, 80~89 : B, 90~99 : A, 100 : A가 입력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0-04-06 09:29:20
안녕하세요.
CHOOSE(인수, 첫 번째, 두 번째, …) 함수는 인수가 1이면 첫 번째를, 인수가 2이면 두 번째를, … 인수가 n이면 n번째를 반환합니다.
=CHOOSE(INT(D3/10)+1,"F","F","F","D","D","C","C","B","B","A","A")
인수 1 2 3 4 5 6 7 8 9 10 11
- 인수가 1이면 F, 2이면 F, 3이면 F, 4이면 D ~~를 넣습니다.
INT(D3/10)+1에서 +1을 하는 이유는 INT(D3/10)의 값이 0일때 F를 넣기 위해 +1을 해준 것입니다. D3 셀의 값이 0~9일때 10으로 나누면 0이고 +1을 해주면 INT(D3/10)+1의 값이 1이 되서 F를 넣게 되는 것입니다.
결과적을 D3셀의 값이 0~9 : F, 10~19 : F, 20~29 : F, 30~39 : D, 40~49 : D, 50~59 : C, 60~69 :C, 70~79 : B, 80~89 : B, 90~99 : A, 100 : A가 입력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