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택배 요금표를 보면 가로, 세로 지역에 따라 요금표가 결정됩니다. index 함수를 이용하여 해당 행과 열의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찾아오면 됩니다.
INDEX 함수는 범위, 행, 열 순으로 지정합니다.
=INDEX( 범위, 행, 열)
-범위 : 실제 데이터가 있는 G18:J21을 지정하면 됩니다.
-행 : 지역번호표[G24:J25]를 이용하여 h28 셀에 입력된 지역에 해당하는 지역번호를 구해야 합니다.
HLOOKUP(H28, G24:J25, 2, FALSE) : H28 셀을 G24:J25 영역에서 찾아 해당 행이 있는 2번쨰 열의 값을 찾아옵니다.
-열 : 지역번호표[G24:J25]를 이용하여 I28 셀에 입력된 지역에 해당하는 지역번호를 구해야 합니다.
HLOOKUP(I28, G24:J25, 2, FALSE) ) : I28 셀을 G24:J25 영역에서 찾아 해당 행이 있는 2번쨰 열의 값을 찾아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0-01-20 10:29:36
안녕하세요.
택배 요금표를 보면 가로, 세로 지역에 따라 요금표가 결정됩니다. index 함수를 이용하여 해당 행과 열의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찾아오면 됩니다.
INDEX 함수는 범위, 행, 열 순으로 지정합니다.
=INDEX( 범위, 행, 열)
-범위 : 실제 데이터가 있는 G18:J21을 지정하면 됩니다.
-행 : 지역번호표[G24:J25]를 이용하여 h28 셀에 입력된 지역에 해당하는 지역번호를 구해야 합니다.
HLOOKUP(H28, G24:J25, 2, FALSE) : H28 셀을 G24:J25 영역에서 찾아 해당 행이 있는 2번쨰 열의 값을 찾아옵니다.
-열 : 지역번호표[G24:J25]를 이용하여 I28 셀에 입력된 지역에 해당하는 지역번호를 구해야 합니다.
HLOOKUP(I28, G24:J25, 2, FALSE) ) : I28 셀을 G24:J25 영역에서 찾아 해당 행이 있는 2번쨰 열의 값을 찾아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