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내용 질문하기
17년 상시2급 기출문제 질문
도서
2018 시나공 기출문제집 컴퓨터활용능력 2급 실기
페이지
0
조회수
25
작성일
2018-12-09
작성자
탈퇴*원
첨부파일
문제처럼 찾는 조건이 안산 혹은 마포인데 =DCOUNTA(G18:J31,4,I18:I19) 에서는 조건범위에 I18:I19 이렇게 작성하고
=AVERAGEIF(A29:A37,"마포",E29:E37) 에서는 A28:A29 가 아닌 "마포"이렇게 작성이 되어있는데 "마포"처럼 텍스트로 작성할때와 " I18:I19 " 수식으로 작성할때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답변
2018-12-10 12:51:36
안녕하세요.
함수의 범위에 해당하는 부분을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D가 들어가는 데이터베이스 함수는 필드명과 조건내용을 함께 조건에 포함합니다.
그래서 DCOUNTA 함수에서는 데이터 범위도 [A28]의 28행(필드명 부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조건에 따른 평균을 구하는 AVERAGEIF 함수는 필드명을 조건으로 넣지 않습니다. 실제 비교되는 데이터를 범위로 지정해 주시면 됩니다.
데이터 범위도 필드명을 제외한 29행부터 시작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관리자2018-12-10 12:51:36
안녕하세요.
함수의 범위에 해당하는 부분을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D가 들어가는 데이터베이스 함수는 필드명과 조건내용을 함께 조건에 포함합니다.
그래서 DCOUNTA 함수에서는 데이터 범위도 [A28]의 28행(필드명 부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조건에 따른 평균을 구하는 AVERAGEIF 함수는 필드명을 조건으로 넣지 않습니다. 실제 비교되는 데이터를 범위로 지정해 주시면 됩니다.
데이터 범위도 필드명을 제외한 29행부터 시작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