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활 질문 자료 올렸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컴활 2급 실기부록 - 계산작업 문제모음
1) 91p 2번문제 정답에
IF(OR(LEFT~~~~~=“K”), 에서
1. 마지막 부분에 왜 “=”를 안붙이나요?
-> 마지막 조건에 비교를 하지 않는 것은 앞 조건들이 모두 아닐 경우, 마지막 조건이 무조건 수행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 조건을 적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입니다.
2. , (쉼표) 쓸 때와 = (등호) 쓸 때 차이점이 뭔가요?
-> =은 같다의 의미로, 좌변과 우변이 같은지 비교하는 것입니다.
,는 함수의 인수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IF(조건, 조건이 참인 경우, 거짓인 경우)
LEFT(문자열, 추출할 문자 수) 와 같이 사용됩니다.
3. 5번문제
[D26], [E26] 문제 설명 부탁드립니다
-> [D26] : = IF(MOD(MID(D26,8,1),2)=1,"남자","여자")
① MID(D26,8,1) : [D26] 셀에서 8번째 글자 1개를 반환
② MOD( ①,2)=1 : ①의 값을 2로 나눈 나머지가 1과 같은지 비교
③ =IF(②,"남자","여자) : ②의 결과가 1과 같다면 "남자", 그렇지 않다면 "여자"를 반환
-> [E26] : =DATE(IF(MID(B26,8,1)>"2", "20","19") & MID(B26,1,2), MID(B26,3,2),MID(B26,5,2))
① =DATE(②,③,④) : 반환된 ②년, ③월, ④일을 표시
② IF(MID(B26,8,1)>"2", "20","19") & MID(B26,1,2)
: 년도를 반환하는 것으로, [B26] 셀의 8번째 1글자가 "2"보다 크면 "20",
그렇지 않으면 "19"를 반환해서 MID(B26,1,2)와 연결합니다.
2000년대 출생자들은 주민등록번호 8번째 숫자가 남자일 경우 3, 여자일 경우 4로 표시됩니다.
그래서 "2"보다 크다는 것은 3이나 4인 경우이므로 2000년대 출생자가 됩니다.
그래서, MID(B26,1,2)로 [B26] 셀의 1번째부터 2글자와 20이나 19를 연결한 것입니다.
③ MID(B26,3,2) : 월을 반환하는 것으로, [B26] 셀의 3번째부터 2글자를 반환
④ MID(B26,5,2) : 일을 반환하는 것으로, [B26] 셀의 5번째부터 2글자를 반환
2) 93P 1번문제
1. 설명 부탁드리며,
-> MATCH(찾을 값, 범위, 옵션)은 범위에서 찾을 값과 같은 데이터를 찾아 옵션을 적용하여 그 위치를 일련번호로 표시합니다.
=MATCH(B3,$E$9:$E$12, -1) & "등급"
[B3] 셀의 값을 [$E$9:$E$12] 영역에서 찾아 위치를 반환받아 "등급"과 연결시키는 것입니다.
2. “-1” 이 나온 이유가 뭔가요?
-> MATCH 함수의 옵션은 -1, 0, 1이 있습니다.
-1 : 찾을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값 중 가장 작은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반드시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합니다.
0 : 찾을 값에서 첫번째로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정렬 되어 있지 않아도 됩니다.
1 : 찾을 값 보다 작거나 같은 값 중에서 큰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반드시 오름차순으로 정렬 되어 있어야 합니다.
생략할시 1로 지정되므로 오름차순 정렬된 상태라면 옵션을 생략하거나 1을 입력하셔도 정확한 결과가 나오는 것입니다.
범위의 값이 정렬된 것을 확인 하셔야 합니다.
내림차순이면 -1, 오름차순이면 1,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은 0 이 됩니다.
문제의 [$E$9:$E$12] 영역이 내림차순되어 있으므로 -1을 넣은 것입니다.
3) 95p
1. 1번문제 원리가 뭔가요?
-> =CHOOSE(WEEKDAY(B3,2),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
WEEKDAY(날짜, 옵션) 함수는 '날짜'에 해당하는 요일번호를 추출합니다.
WEEKDAY 함수의 옵션
- 1 또는 생략 :1(일요일)에서 7(토요일)까지의 숫자를 사용합니다.
- 2 : 1(월요일)에서 7(일요일) 까지의 숫자를 사용합니다.
- 3 : 0(월요일)에서 6(일요일) 까지의 숫자를 사용합니다.
문제에서 친절하게도 '요일의 계산방식은 월요일부터 시작하는 2번 방법으로 지정'으로 지시했으므로,
WEEKDAY 함수의 옵션은 2가 됩니다.
CHOOSE(인수, 첫번째, 두번째,,,) 함수는 인수가 1이면 첫 번째를, 2이면 두번째를,,,인수가 n이면 n번째를 반환합니다.
WEEKDAY 함수에서 추출한 값을 인수로, 요일을 월요일부터 순서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2. 2번문제에서
-> MID(F3, 8, 1)=“3” 큰 따옴표 왜 붙여줘야 하나요? 문자인건가요?
MID 함수가 문자함수여서 반환되는 값이 문자입니다. 그래서 큰따옴표로 묶어주는 것입니다.
4) 99p 4번문제
설명 부탁드립니다
-> 전체 개수에서 70점 미만의 개수를 빼고, 80점 이상의 개수도 빼면 70점부터 79점까지의 점수 개수만 남게 됩니다.
(전체 개수 - 70 미만 개수 - 80 이상 개수)
결과적으로 문제에서 제시한 70이상 80미만의 사람 수를 계산한 것이지요.
5) 107p 3번문제
설명 부탁드립니다 특히 <=6 나와 있는 부분은
6 이하이면 5, 4, 3, 2, 1 숫자가 다 포함일텐데 <=6으로만 규정시킬 수 있나요?
-> 첫 번째 조건에서 3 이하(1,2,3)가 처리되고, 걸러지지 않은 숫자 중에 6이하(4,5,6)를 처리합니다.
6) 117p 2번문제
수식 설명 부탁드립니다
=IF(I3<=small($I$3:$I$11,3), "입상", " ")
[$I$3:$I$11] 영역에서 3번째 작은 값와 [I3] 셀을 비교해서 1,2,3위에 "입상"을 표시하고, 3위보다 큰 경우 공백을 표시합니다.
마라톤은 작은 값이 1등이므로 small 함수를 사용한 것입니다.
7) 127p
1. 3번문제
수식 설명 부탁드립니다
=IF($E$14-D16>=8, "휴가독촉", IF($E$14-D16>=4, "휴가권장"," "))
문제에서 총휴가일수($E$14)에서 사용일수(D16:D24)를 뺀 일수가 8일 이상이면 "휴가독촉",
8일 미만 4일 이상이면 "휴가권장", 4일 미만이면 공백으로 표시하라고 했습니다.
총휴가일수는 언제나 동일한 값이므로 절대참조한 것이구요.
사용일수는 사람마다 다르므로 채우기 핸들러로 채울때 다른 값이 적용되야 합니다.
2. 4번문제
수식 설명 부탁드립니다
=MID(J16,1,SEARCH("@", J16,1)-1)
mid(j16,1 은 j16 값의 첫번째 부터 반환한다는 것이구요.
SEARCH("@",J16,1)-1) 부분은 끝날 위치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search 를 이용해서 e메일에서 @ 의 위치를 찾으면 @의 위치가 표시됩니다.
leve99@naver.com 이면 7를 찾게 되는데 이렇게 그대로 사용하면 @ 까지 결과가 나오게 되세요.
그러므로 @ 앞만 표시하게 하려면 -1 을 해주셔야 하는 것입니다.
----------------
실기책
8) 102p 수식의 이해 설명 중
DATE( “19” ~~
왜 날짜 지정할 때 앞에 "" 를 붙이나요?
LEFT(B3,2)에서 문자를 추출해서 19를 붙여야 년도의 현태인 1981이 됩니다.
9) 114p 5번
IF((D24-(C24-110))>=6 과 같이 식 안에 가로 ( ) 가 많은데
식을 만들어줬기 때문에 가운데 가로 () 가 더 들어간 건가요?
네, 수학에서 처럼 사용된 것입니다.
10) 부분합과 피벗테이블의 차이점이 뭔가요?
- 부분합 : 입력된 데이터를 특정 필드를 기준으로 그룹화해서 각 그룹에 대한 통계를 계산하는 기능입니다.
- 피벗테이블 : 피벗(Pivot)이란 ‘요점, 중심축,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다’를 뜻하며,
작성된 데이터 목록의 필드를 재구성하여 전체 데이터에 대한 통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된 표로 만드는 기능입니다.
피벗 테이블은 부분합, 자동 필터 등 엑셀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므 로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통계 자료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11) 데이터표와 시나리오의 차이점이 뭔가요?
- 데이터표 : 특정한 값의 변화에 따른 결과값의 변화를 표 형태로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기말고사에서 국어 점수를 60점 맞았다면 총점 은 얼마일까?
70점 맞았다면, 80점 맞았다면, 90점 맞았다면… 평균은 얼마일까를 계산하는 것이 데이터 표의 기능입니다.
- 시나리오 : 다양한 상황과 변수에 따른 여러 가지 결과값의 변화를 가상의 상황을 통해 예측하여 분석하는 기능입니다.
즉 ‘A, B, C 각 제품의 반 품수량이 10개씩 줄면 매출액이 얼마나 증가할까? A, B, C각 제품의 반품수량이 10개씩 늘어나면 매출액이 얼마나 감소할까?’와 같은 물음에 답변 을 하는 기능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2018-10-05 10:45:57
컴활 2급 실기부록 - 계산작업 문제모음
1) 91p 2번문제 정답에
IF(OR(LEFT~~~~~=“K”), 에서
1. 마지막 부분에 왜 “=”를 안붙이나요?
-> 마지막 조건에 비교를 하지 않는 것은 앞 조건들이 모두 아닐 경우, 마지막 조건이 무조건 수행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 조건을 적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입니다.2. , (쉼표) 쓸 때와 = (등호) 쓸 때 차이점이 뭔가요?
-> =은 같다의 의미로, 좌변과 우변이 같은지 비교하는 것입니다.
,는 함수의 인수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IF(조건, 조건이 참인 경우, 거짓인 경우)
LEFT(문자열, 추출할 문자 수) 와 같이 사용됩니다.3. 5번문제
[D26], [E26] 문제 설명 부탁드립니다
-> [D26] : = IF(MOD(MID(D26,8,1),2)=1,"남자","여자")
① MID(D26,8,1) : [D26] 셀에서 8번째 글자 1개를 반환
② MOD( ①,2)=1 : ①의 값을 2로 나눈 나머지가 1과 같은지 비교
③ =IF(②,"남자","여자) : ②의 결과가 1과 같다면 "남자", 그렇지 않다면 "여자"를 반환
-> [E26] : =DATE(IF(MID(B26,8,1)>"2", "20","19") & MID(B26,1,2), MID(B26,3,2),MID(B26,5,2))
① =DATE(②,③,④) : 반환된 ②년, ③월, ④일을 표시
② IF(MID(B26,8,1)>"2", "20","19") & MID(B26,1,2): 년도를 반환하는 것으로, [B26] 셀의 8번째 1글자가 "2"보다 크면 "20",
그렇지 않으면 "19"를 반환해서 MID(B26,1,2)와 연결합니다.
2000년대 출생자들은 주민등록번호 8번째 숫자가 남자일 경우 3, 여자일 경우 4로 표시됩니다.그래서 "2"보다 크다는 것은 3이나 4인 경우이므로 2000년대 출생자가 됩니다.
그래서, MID(B26,1,2)로 [B26] 셀의 1번째부터 2글자와 20이나 19를 연결한 것입니다.
③ MID(B26,3,2) : 월을 반환하는 것으로, [B26] 셀의 3번째부터 2글자를 반환
④ MID(B26,5,2) : 일을 반환하는 것으로, [B26] 셀의 5번째부터 2글자를 반환
2) 93P 1번문제1. 설명 부탁드리며,
-> MATCH(찾을 값, 범위, 옵션)은 범위에서 찾을 값과 같은 데이터를 찾아 옵션을 적용하여 그 위치를 일련번호로 표시합니다.=MATCH(B3,$E$9:$E$12, -1) & "등급"
[B3] 셀의 값을 [$E$9:$E$12] 영역에서 찾아 위치를 반환받아 "등급"과 연결시키는 것입니다.
2. “-1” 이 나온 이유가 뭔가요?
-> MATCH 함수의 옵션은 -1, 0, 1이 있습니다.-1 : 찾을 값 보다 크거나 같은 값 중 가장 작은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반드시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어야 합니다.
0 : 찾을 값에서 첫번째로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정렬 되어 있지 않아도 됩니다.
1 : 찾을 값 보다 작거나 같은 값 중에서 큰 값을 찾습니다. 범위는 반드시 오름차순으로 정렬 되어 있어야 합니다.
생략할시 1로 지정되므로 오름차순 정렬된 상태라면 옵션을 생략하거나 1을 입력하셔도 정확한 결과가 나오는 것입니다.
범위의 값이 정렬된 것을 확인 하셔야 합니다.
내림차순이면 -1, 오름차순이면 1,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은 0 이 됩니다.
문제의 [$E$9:$E$12] 영역이 내림차순되어 있으므로 -1을 넣은 것입니다.
3) 95p1. 1번문제 원리가 뭔가요?
-> =CHOOSE(WEEKDAY(B3,2),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WEEKDAY(날짜, 옵션) 함수는 '날짜'에 해당하는 요일번호를 추출합니다.
WEEKDAY 함수의 옵션
- 1 또는 생략 :1(일요일)에서 7(토요일)까지의 숫자를 사용합니다.
- 2 : 1(월요일)에서 7(일요일) 까지의 숫자를 사용합니다.
- 3 : 0(월요일)에서 6(일요일) 까지의 숫자를 사용합니다.문제에서 친절하게도 '요일의 계산방식은 월요일부터 시작하는 2번 방법으로 지정'으로 지시했으므로,
WEEKDAY 함수의 옵션은 2가 됩니다.CHOOSE(인수, 첫번째, 두번째,,,) 함수는 인수가 1이면 첫 번째를, 2이면 두번째를,,,인수가 n이면 n번째를 반환합니다.
WEEKDAY 함수에서 추출한 값을 인수로, 요일을 월요일부터 순서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2. 2번문제에서-> MID(F3, 8, 1)=“3” 큰 따옴표 왜 붙여줘야 하나요? 문자인건가요?
MID 함수가 문자함수여서 반환되는 값이 문자입니다. 그래서 큰따옴표로 묶어주는 것입니다.
4) 99p 4번문제
설명 부탁드립니다-> 전체 개수에서 70점 미만의 개수를 빼고, 80점 이상의 개수도 빼면 70점부터 79점까지의 점수 개수만 남게 됩니다.
(전체 개수 - 70 미만 개수 - 80 이상 개수)
결과적으로 문제에서 제시한 70이상 80미만의 사람 수를 계산한 것이지요.
5) 107p 3번문제설명 부탁드립니다 특히 <=6 나와 있는 부분은
6 이하이면 5, 4, 3, 2, 1 숫자가 다 포함일텐데 <=6으로만 규정시킬 수 있나요?-> 첫 번째 조건에서 3 이하(1,2,3)가 처리되고, 걸러지지 않은 숫자 중에 6이하(4,5,6)를 처리합니다.
6) 117p 2번문제수식 설명 부탁드립니다
=IF(I3<=small($I$3:$I$11,3), "입상", " ")
[$I$3:$I$11] 영역에서 3번째 작은 값와 [I3] 셀을 비교해서 1,2,3위에 "입상"을 표시하고, 3위보다 큰 경우 공백을 표시합니다.
마라톤은 작은 값이 1등이므로 small 함수를 사용한 것입니다.
7) 127p1. 3번문제
수식 설명 부탁드립니다
=IF($E$14-D16>=8, "휴가독촉", IF($E$14-D16>=4, "휴가권장"," "))
문제에서 총휴가일수($E$14)에서 사용일수(D16:D24)를 뺀 일수가 8일 이상이면 "휴가독촉",
8일 미만 4일 이상이면 "휴가권장", 4일 미만이면 공백으로 표시하라고 했습니다.총휴가일수는 언제나 동일한 값이므로 절대참조한 것이구요.
사용일수는 사람마다 다르므로 채우기 핸들러로 채울때 다른 값이 적용되야 합니다.
2. 4번문제수식 설명 부탁드립니다
=MID(J16,1,SEARCH("@", J16,1)-1)
mid(j16,1 은 j16 값의 첫번째 부터 반환한다는 것이구요.
SEARCH("@",J16,1)-1) 부분은 끝날 위치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search 를 이용해서 e메일에서 @ 의 위치를 찾으면 @의 위치가 표시됩니다.leve99@naver.com 이면 7를 찾게 되는데 이렇게 그대로 사용하면 @ 까지 결과가 나오게 되세요.
그러므로 @ 앞만 표시하게 하려면 -1 을 해주셔야 하는 것입니다.
----------------
실기책
8) 102p 수식의 이해 설명 중DATE( “19” ~~
왜 날짜 지정할 때 앞에 "" 를 붙이나요?
LEFT(B3,2)에서 문자를 추출해서 19를 붙여야 년도의 현태인 1981이 됩니다.
9) 114p 5번IF((D24-(C24-110))>=6 과 같이 식 안에 가로 ( ) 가 많은데
식을 만들어줬기 때문에 가운데 가로 () 가 더 들어간 건가요?네, 수학에서 처럼 사용된 것입니다.
10) 부분합과 피벗테이블의 차이점이 뭔가요?- 부분합 : 입력된 데이터를 특정 필드를 기준으로 그룹화해서 각 그룹에 대한 통계를 계산하는 기능입니다.
- 피벗테이블 : 피벗(Pivot)이란 ‘요점, 중심축,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다’를 뜻하며,
작성된 데이터 목록의 필드를 재구성하여 전체 데이터에 대한 통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된 표로 만드는 기능입니다.
피벗 테이블은 부분합, 자동 필터 등 엑셀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므 로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통계 자료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11) 데이터표와 시나리오의 차이점이 뭔가요?- 데이터표 : 특정한 값의 변화에 따른 결과값의 변화를 표 형태로 보여주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기말고사에서 국어 점수를 60점 맞았다면 총점 은 얼마일까?
70점 맞았다면, 80점 맞았다면, 90점 맞았다면… 평균은 얼마일까를 계산하는 것이 데이터 표의 기능입니다.- 시나리오 : 다양한 상황과 변수에 따른 여러 가지 결과값의 변화를 가상의 상황을 통해 예측하여 분석하는 기능입니다.
즉 ‘A, B, C 각 제품의 반 품수량이 10개씩 줄면 매출액이 얼마나 증가할까? A, B, C각 제품의 반품수량이 10개씩 늘어나면 매출액이 얼마나 감소할까?’와 같은 물음에 답변 을 하는 기능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