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가 워낙 많다보니 이전에 배웠던것이랑 섞여서 혼동될때가 많더라구요
제가 궁금한것은
1. 인수중에 " " <- 이 큰따옴표가 쓰이는곳과 안쓰이는곳의 차이를 잘모르겠어요
제가 처음 이해한 바로는 텍스트를 입력할때 쓰이는것인줄 알았습니다. ("텍스트") 그런데,
p.239 2번 문제 (=IF(RIGHT(A3,1)="1" ...) <- "숫자"
p.266 3번 문제 (=COUNTIF(B19:D23),">=3") <- "등호"
이 문제들 처럼 텍스트가 아닌 곳에도 큰따옴표가 쓰이는것을 보고
도대체 큰따옴표를 쓰이고 안쓰이고의 구분이 무엇인지 혼란이 왔습니다.
큰따옴표에 대한 정의를 자세히 알려주세요 ㅠㅠ
2. 두번째 질문은
범위 인수를 입력할 때 제목행을 포함하는 함수가 있고, 제목행을 생략하고 숫자들만 지정하는 함수가 있더라구요
이것도 어떤함수가 제목행을 포함하고 어떤함수가 제목행을 포함하지 않는지 궁긍합니다.
1. sumif, countif 등에서 조건 인수에 "" 를 붙여사용합니다.
left,right,mid 함수에서 나온 결과가 문자이므로 비교값도 문자로 나타내기 위해 "2" 로 사용됩니다.
2. dsum, dcount 등 과 같은 d가 들어가는 함수들이 필드명을 포함합니다.
그외의 함수는 대부분 값들만 포함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함수 사용시 필드명이 필요한 함수만 필드명을 포함하여 사용하세요.
좋은 하루 되세요.
-
*2017-05-31 10:35:38
1. sumif, countif 등에서 조건 인수에 "" 를 붙여사용합니다.
left,right,mid 함수에서 나온 결과가 문자이므로 비교값도 문자로 나타내기 위해 "2" 로 사용됩니다.
2. dsum, dcount 등 과 같은 d가 들어가는 함수들이 필드명을 포함합니다.
그외의 함수는 대부분 값들만 포함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함수 사용시 필드명이 필요한 함수만 필드명을 포함하여 사용하세요.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