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회차를 풀면서 틀린 부분 전반적으로 잘 이해가 안되네요. 제가 모르는 것도 있지만 제가 모르는 것 외에 다른
부분은 도저히 왜 틀렸는지 잘 모르겠네요.. ㅠㅠ
먼저 제가 왜 틀렸는지 모르겠는건 자료입력 부분에 로마자 부분입니다. 로마자를 맞게 입력했는데 왜 틀렸다고 뜨
는지 모르겠어요.
그리고 셀 서식의 형식 부분 역시 소수 한자리 남기는 것만 잘 해놨는데 왜 틀렸는지 모르겠어요. 그리고 계산작업
의 제품명이 틀렸다고 나오는데 알맞게 풀었는데 틀리게 나오네요... 그리고 피벗테이블 역시 표시형식 알맞게 표
현했는데 왜 틀렸다고 나오는지 모르겠어요. 또 차트 부분의 세로값 축 표시 형식 부분도 맞게 표현했는데 왜 틀린
건가요..
지금까지 말씀 드린 부분은 제가 맞게 표현했는데 채점 프로그램상 오류로 틀렸다고 표시되는건가요? 궁금하네
요..
그리고 나머지는 제가 몰라서 질문 드립니다. 메모의 자동 크기는 어떻게 설정하는건가요? 메모 서식을 들어가서
봤는데 잘 안보여서요.. 그리고 텍스트 가로 균등분할을 하라고 하던데 그건 어떻게 하는건가요? ㅠㅠ 또 평점 표
시의 choose와 int를 활용하는 함수는 아예 잘 모르겠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1. 자료입력 부분은 키보드로 입력해야 하는 부분으로 문자표를 이용하시면 안되구요.
키보드의 i 와 v 를 이용하여 작성하셔야 합니다.
2. 셀 형식 지정할때 정답파일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면 오답처리 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지시사항에 맞게 지정하여 정확한 결과가 나오면 됩니다.
3. 계산 작업 부분은 파일을 봐야 정확히 알 수 있을 것 같네요.
4. 형식 부분도 2번과 같은 이유인 것 같습니다.
5.
셀서식에서 맞춥탭에 가로-> 균등분할(들여쓰기)를 선택하고 들여쓰기에 1 을 지정하시면 됩니다.
6. 메모 서식에서 맞춤 탭에 자동크기를 지정하시면 됩니다,
7.
전체적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choose 함수 사용법을 보시면(53p) =choose(인수,첫번째,두번째,...)
인수가 1이면 첫번째를, 2이면 두번째를,...
한마디로 요일 번호가 1이면 "일",2이면 "월",3이면 "화",4이면 "수",.....
= choose(c3,"일","월","화","수","목","금","토") 가 되는 것이지요.
문제에서
90이상이면 "A",70이상이면 "B", 50이상이면 "C",30이상이면 "D", 30미만이면 "F" 를 평점에 표시하라고 했기 때문입니다.
30미만이므로 0~29까지 입니다. 0~1까지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1 을 해서 1로 만들어주고
10~19까지 10으로 나누면 1 거기에 +1을 하면 2,
20~29까지 10으로 나누면 2 거기에 +1을 하면 3,
이 되므로 1,2,3 이 0~29까지의 값이됩니다. 그래서 choose의 인수가 1,2,3 일때 값을 반환하기 위해서
choose 인수의 첫번째,두번째, 세번째에 "F" 가 들어가는 것이죠.
그리고 +1 을 하는 이유는 0~9값을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0값은 choose 함수에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1을 하여 1의 값을 만들어 주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1이 나오면 "F" 를 반영할 수 있도록
choose(int(d3/10)+1,"F",.....) 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30미만인 것 즉 1,2,3 이라는 인수가 나온 것은 F가 되어야 하므로
choose(int(d3/10)+1,"F","F","F"...
로 사용하는 것이죠.
책에 설명되어 있듯이 81을 10으로 나누면 8이되고 거기에 +1을 하게되면 9가 됩니다.
80이상이면 "B" 가 되어야 하기때문에 9는 "B"로 맞게 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2015-10-24 06:47:01
1. 자료입력 부분은 키보드로 입력해야 하는 부분으로 문자표를 이용하시면 안되구요.
키보드의 i 와 v 를 이용하여 작성하셔야 합니다.
2. 셀 형식 지정할때 정답파일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면 오답처리 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지시사항에 맞게 지정하여 정확한 결과가 나오면 됩니다.
3. 계산 작업 부분은 파일을 봐야 정확히 알 수 있을 것 같네요.
4. 형식 부분도 2번과 같은 이유인 것 같습니다.
5.
셀서식에서 맞춥탭에 가로-> 균등분할(들여쓰기)를 선택하고 들여쓰기에 1 을 지정하시면 됩니다.
6. 메모 서식에서 맞춤 탭에 자동크기를 지정하시면 됩니다,
7.
전체적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choose 함수 사용법을 보시면(53p) =choose(인수,첫번째,두번째,...)
인수가 1이면 첫번째를, 2이면 두번째를,...
한마디로 요일 번호가 1이면 "일",2이면 "월",3이면 "화",4이면 "수",.....
= choose(c3,"일","월","화","수","목","금","토") 가 되는 것이지요.문제에서
90이상이면 "A",70이상이면 "B", 50이상이면 "C",30이상이면 "D", 30미만이면 "F" 를 평점에 표시하라고 했기 때문입니다.
30미만이므로 0~29까지 입니다. 0~1까지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1 을 해서 1로 만들어주고
10~19까지 10으로 나누면 1 거기에 +1을 하면 2,
20~29까지 10으로 나누면 2 거기에 +1을 하면 3,
이 되므로 1,2,3 이 0~29까지의 값이됩니다. 그래서 choose의 인수가 1,2,3 일때 값을 반환하기 위해서
choose 인수의 첫번째,두번째, 세번째에 "F" 가 들어가는 것이죠.
그리고 +1 을 하는 이유는 0~9값을 10으로 나누면 0이 나오기 때문에 0값은 choose 함수에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1을 하여 1의 값을 만들어 주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1이 나오면 "F" 를 반영할 수 있도록
choose(int(d3/10)+1,"F",.....) 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30미만인 것 즉 1,2,3 이라는 인수가 나온 것은 F가 되어야 하므로choose(int(d3/10)+1,"F","F","F"...
로 사용하는 것이죠.
책에 설명되어 있듯이 81을 10으로 나누면 8이되고 거기에 +1을 하게되면 9가 됩니다.
80이상이면 "B" 가 되어야 하기때문에 9는 "B"로 맞게 됩니다.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