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MOD(13, -3) : MOD(인수1, 인수2) 함수는 인수1을 인수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합니다. 나머지를 구한다는 것은 쉽게 말하면 똑같이 분배해 주면 몇 개씩 주고(몫) 남는 게(나머지) 몇 개냐는 의미입니다.
- =MOD(13, 3) : 13개를 3명에게 몇 개씩 나눠주면 몇 개가 남느냐는 의미입니다. 4개를 3명에게 나눠주면 되므로 몫은 4이고, 나머지는 1이 됩니다.
- =MOD(-13, 3) : 피제수가 음수(-13)인 경우는 분배해 줄 양이 받아야 할 양이 됩니다. 즉 13개를 채우려면 3명에게서 똑같이 몇 개씩 받으면(몫) 더 받은(나머지) 것은 몇 개냐? 정도로 말할 수 있습니다. 즉 5개씩 받으면 15개가 되므로 2개가 남죠? 나머지는 2가 됩니다.
- =MOD(13, -3) : 제수가 음수(-3)인 경우는 피제수가 음수인 ‘=MOD(-13, 3)’의 결과에 제수의 부호를 붙여주면 됩니다. 즉, ‘=MOD(-13, 3)’의 결과 2에 제수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면 -2가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0-02-03 10:09:07
안녕하세요.
=MOD(13, -3) : MOD(인수1, 인수2) 함수는 인수1을 인수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합니다. 나머지를 구한다는 것은 쉽게 말하면 똑같이 분배해 주면 몇 개씩 주고(몫) 남는 게(나머지) 몇 개냐는 의미입니다.
- =MOD(13, 3) : 13개를 3명에게 몇 개씩 나눠주면 몇 개가 남느냐는 의미입니다. 4개를 3명에게 나눠주면 되므로 몫은 4이고, 나머지는 1이 됩니다.
- =MOD(-13, 3) : 피제수가 음수(-13)인 경우는 분배해 줄 양이 받아야 할 양이 됩니다. 즉 13개를 채우려면 3명에게서 똑같이 몇 개씩 받으면(몫) 더 받은(나머지) 것은 몇 개냐? 정도로 말할 수 있습니다. 즉 5개씩 받으면 15개가 되므로 2개가 남죠? 나머지는 2가 됩니다.
- =MOD(13, -3) : 제수가 음수(-3)인 경우는 피제수가 음수인 ‘=MOD(-13, 3)’의 결과에 제수의 부호를 붙여주면 됩니다. 즉, ‘=MOD(-13, 3)’의 결과 2에 제수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면 -2가 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