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교재에는 cpu가 연산,제어 장치와 주기억장치로 이루어져 있다고 나와있는데요
어떤 사람들은 주기억장치는 포함 안 시키는 거 같아요.
주기억 장치와 중앙처리장치의 차이가 무엇이지요? 단순한 포함 관계인가요?
2.cpu는 논리회로와 레지스터만으로, 혹은 주로 논리회로와 레지스터로 구성된 건가요?
3.핵심요약 37번의 2번 문제요. cpu가 하나의 명령을 수행하는 일련의 단계를 기계 사이클이라 한다...
호출,해독,실행,저장 이 나와있는데
호출은 주기억장치에서 제어장치로의 호출을 말하는 건가요?저장은 주기억장치에 하는 건가요?실행은 어디서 하는 거고 해독은 어디서 하는 건가요?
전반적으로 기계사이클의 의미를 잘 이해 못하겠어요.ㅠㅠ
안녕하세요.
1. CPU는 명령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면 주기억장치는 CPU가 명령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장치입니다. CPU와 주기억장치는 별개의 장치로 보시면 됩니다.
2. 주로 논리회로와 레지스터로 구성된 것으로 보면 될듯 합니다.
3. 제어장치의 명령 실행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프로그램 계수기(PC)에 저장된 명령어의 주소를 읽어 MAR에 넣습니다.
2. MAR이 해독한 기억장치의 번지에 있는 내용(명령)을 MBR로 읽어옵니다.
3. MBR에 저장된 명령을 명령어의 해독과 실행을 위해 명령 레지스터(IR)로 이동시킵니다.
4. 명령 해독기(Decoder)가 명령 레지스터의 내용을 해독하고, 부호기(Encoder)가 명령 실행에 필요한 장치에게 제어 신호를 보냄으로써 명령이 실행됩니다.
※ 위의 명령 실행 순서를 볼 때 CPU가 하나의 명령을 수행하는 일련의 단계(기계 사이클)는‘호출 → 해독 → 실행 → 저장’의 순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2015-06-22 10:54:37
안녕하세요.
1. CPU는 명령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면 주기억장치는 CPU가 명령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장치입니다. CPU와 주기억장치는 별개의 장치로 보시면 됩니다.
2. 주로 논리회로와 레지스터로 구성된 것으로 보면 될듯 합니다.
3. 제어장치의 명령 실행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프로그램 계수기(PC)에 저장된 명령어의 주소를 읽어 MAR에 넣습니다.
2. MAR이 해독한 기억장치의 번지에 있는 내용(명령)을 MBR로 읽어옵니다.
3. MBR에 저장된 명령을 명령어의 해독과 실행을 위해 명령 레지스터(IR)로 이동시킵니다.
4. 명령 해독기(Decoder)가 명령 레지스터의 내용을 해독하고, 부호기(Encoder)가 명령 실행에 필요한 장치에게 제어 신호를 보냄으로써 명령이 실행됩니다.
※ 위의 명령 실행 순서를 볼 때 CPU가 하나의 명령을 수행하는 일련의 단계(기계 사이클)는‘호출 → 해독 → 실행 → 저장’의 순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즐거운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