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식(교재 정답)
=INDEX($A$3:$I$20,MATCH(MAX(($D$3:$D$20=A24)*$G$3:$G$20),($D$3:$D$20=A24)*$G$3:$G$20,0),1)
2번식(본인 생각)
=INDEX($A$3:$I$20,MATCH(MAX(($D$3:$D$20=A24)*$G$3:$G$20),
$G$3:$G$20,0),1)
---------------------------------------------------------------------------------------------------------
가 조건이 적용된 배열에서 위치를 찾음 → 이 배열은 실제 G열과는 위치가 다름
MATCH
MATCH
가 반환한 위치는 필터링된 배열의 상대적 위치라서 INDEX
가 엉뚱한 행을 반환할 수 있음
--> 2번 식이 맞는 것 아닌가요?
확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교재가 맞습니다.
MATCH 함수에서 위치를 반환할 때 조건을 적용해도 실제 G열의 위치와 같습니다.
예를들어, 담당자가 김민국인 사람중 미수금이 가장 큰 값을 구하면 김민국 데이터 중에는 3번째에 있지만 전체 데이터 범위의 행 중 14번째에 있으므로 MATCH 함수의 결과로 14가 반환됩니다. 이는 INDEX 함수의 행과도 맞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
관리자2025-08-08 07:56:51
안녕하세요.
교재가 맞습니다.
MATCH 함수에서 위치를 반환할 때 조건을 적용해도 실제 G열의 위치와 같습니다.
예를들어, 담당자가 김민국인 사람중 미수금이 가장 큰 값을 구하면 김민국 데이터 중에는 3번째에 있지만 전체 데이터 범위의 행 중 14번째에 있으므로 MATCH 함수의 결과로 14가 반환됩니다. 이는 INDEX 함수의 행과도 맞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